The Impacts of Physical Health on Health Behaviors of The Korean Rural Elderly

농촌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 신체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Lee, Jeong-Hwa (Departmen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Kyoung-Shin (Departmen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Kyoung-Myoung (Departmen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정화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 김경신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 김경명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physical health on health behaviors of the rural elderly. In this study, physical health is measured self-rated health and farmer symptoms. The specific question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What are the general tendencies of health behavior, self-rated health and farmer symptoms? What are the direct impacts and indirect impacts of respondents' characteristics, self-rated health and farmer symptoms on health behaviors of the rural elderly? For this purpose, survey data was gathered from 881 rural elderly who live in a village.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path analysis with spsswin 12.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evel of health behaviors and self-rated health is low and the level of farmer symptoms is high. In general, it can be said that respondents of this study have the low level of physical health and health behaviors. A path analysis shows the relation of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health behaviors. Economic status, education status and farmer symptoms play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health behaviors. Especially, the effect of farmer symptoms i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s. Sex and age are indirectly significant on health behavio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confirm that objective physical health, like as farmer symptoms, plays important roles in health behavior of the rural elderly. It means that the Korean rural elderly need many facilities and services to promote their physical health.

Keywords

References

  1. 강수균.구향숙.김정모.박경규.전영숙.최경희.박선희 (2003).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2(2), 53-72
  2. 고정수.성장훈 (2004).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건강증진행위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4(2), 121-131
  3. 구미옥.강영실.김은심.안황란.오현숙.은영 (2002).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노인 건강증진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2(3), 384-394
  4. 김남진 (2000). 예비노인 집단과 노인집단간의 건강관심도 및 건강행위, 주관적인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 보건교육.보건증진학회지, 17(2), 99-110
  5. 김득희.황경열 (1998). 농촌과 도시 노인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건강상태간의 관계 연구. 특수교육연구, 21, 95-126
  6. 김병성.전해성.차인준 (1995). 일부 농촌 주민의 농부증 및 농기계사고. 인제대학교 지역사회의학연구소 연구논문집, 1, 31-40
  7. 김숙경 (2004).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23, 179-202
  8. 김오남 (2003). 농촌노인의 건강수준,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8(2), 5-22
  9. 김정남 (2004). 농촌노인의 영적 안녕과 희망,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8(2), 342-357
  10. 김혜령 (2003). 일 도시지역 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3(5), 544-552
  11. 김효정.채선옥.박영숙.우선혜 (2001).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및 건강개념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5(2), 262-274
  12. 김희자.김주현.박연환 (2000). 일 지역 농촌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12(4), 573-583
  13. 농림부 (2002). 농촌지역의 노인복지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4. 민경진.김근조.차춘근 (2001). 일부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8(2), 01-26
  15. 박대식.김화순 (2001). 농촌 노인들의 농부증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3(1), 111-120
  16. 박은숙, 김순자, 김소인, 전영자, 이평숙, 김행자, 한금선 (1998).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학회지, 28(3), 638-649
  17. 박정숙 (2004). 노인 건강증진대학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 증진행위, 건강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4(7), 1194-1204
  18. 박정숙.오윤정 (2005). 농촌형 노인 건강증진프로그램이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5(5), 943-954
  19. 박태진.이가영(1996). 농부증의 정신적 원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지역사회의학연구소 연구논문집, 4, 37-55
  20. 보건복지부(2006). 제 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새로마지 플랜2010
  21. 성정숙.박재순 (2005).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 노인간호학회지, 7(1), 71-78
  22. 소정숙 (2003). 일부 도시.농촌 노인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송경애.이소영 (2000). 한국노인과 미국이민 한국노인의 건강상태 지각과 건강증진행위. 기본간호학회지, 7(3), 401-414
  24. 송영신.이미라.안은경 (1997).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27(3), 541-549
  25. 엄기욱(2005). 지방화시대의 노인보건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모색, 2005년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41-55
  26. 윤순덕.한경혜 (2004).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섬리적 복지. 한국노년학, 24(2), 57-77
  27. 은영.구미옥 (1999). 일지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건강통제위 및 건강통제위 반응 유형. 대한간호학회지, 29(3), 625-638
  28. 이경숙 (1998). 노인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무식.이미영.양선희.신동훈.서석권 (1998). 농촌 노인에서의 농부증과 우울정도와의 관련성. 계명의대논문집, 17(3), 354-366
  30. 이정화 (2006). 농촌노인의 성과 연령에 따른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의 상호관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7(2), 15-30
  31. 이정화.한경혜 (2003).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농촌사회, 13(1), 209-238
  32. 이정화.한경혜.박공주.이한기 (2003). 사회적 환경으로서의 지원망 특성이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9(3), 1-7
  33. 이종순 (2006. 04. 14). 농민 10명중 4명 '농부증' 으로 고통......대책마련 시급. 농민신문. http://www.nongmin.com
  34. 장성훈 (1998). 충주지역 전업농민의 농부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중원지역 발전연구원, 3, 74-90
  35. 장인순 (2003). 일부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7(1), 35-46
  36. 장인순 (2004). 일부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영적안녕, 우울, 주과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2), 91-98
  37. 전미영 (2003). 통합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3(3), 1-13
  38. 전제균.문미숙 (2001).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된 변수 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3(1), 107-114
  39. 조소영.김점자 (1996). 한국농촌노인의 건강증진관리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0(2), 146-161
  40. 조정민.전미영.김명희 (2006). 일 지역 초등학생이 지각한 경제상태와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 95-103
  41. 차승은.한경혜.이정화 (2002). 농촌 노인의 지각된 건강과 신체.정신.사회적 건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연령 집단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3(1), 173-190
  42. 최연희 (2004).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1(2), 87-100
  43. 최은영.김지영.김혜숙 (2003).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생활만족도 및 가족지지와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5(1), 7-16
  44. 한경혜.윤순덕 (2001) 자녀와의 동.별거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1(2), 163-178
  45. 한경혜.이정화.Ryff, C..Marks, N..옥선화.차승은 (2003). 한국 중년기 남녀의 건강상태 및 건강 관리 행동 : 성별, 연령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1), 213-229
  46. 홍대용 (1996). 시설원예지역 하우스병의 실태진단 및 예방 (하우스 종사자의 농부증 발생에 미치는 요인 분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연구소보, 30(2), 411-415
  47. Bergner, M. (1985). Measurement of health status. Medical Care, 23(5), 696-704 https://doi.org/10.1097/00005650-198505000-00028
  48. Brubaker, B. H. (1983). Health Promotion: a Linguistic Analysi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April, 1-13
  49. Bryant L. L., Beck, A., & Fairclough D.L. (2000). Factors that Contribute to Positive perceived health in an Older Population.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2(2), 169-192 https://doi.org/10.1177/089826430001200202
  50. Combs, A. W., & Snygg, D. (1971). Individual Behavior : A perceptual Approach to Behavior(rev. ed), New York: Karper & Brothers
  51. Farmer, M. M., & Ferraro, K. F. (1997). Distress & perceived health: Mechanism of health declin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9(september), 298-311
  52. Pencer, N. J. (1982).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rwalk, CT: Appleton-Century-Crofts
  53. Rowe, J. W., & R. L. Kahn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 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54. Willits, F. K., & Crider, D. M. (1988). Health rating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later middle years. Journal of Gerontology, 43(5), 172-176
  55. http://kosis.nso.go.kr (통계청.2005 사회통계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