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the cooking methods foroftraditional foods called such as Mieum, Misu, and Goeum from the from investigation of old cook books and ancient literatureis as follows. There We found were 7 types of Mieum that were cooked by mixing rice and cereals, while 3 types of Mieum were cooked by mixing cereals and herbal medicines to with thenuts. The Mieums that were cooked by mixing meat, fish, and shellfish, etc. to the herbal medicine ingredients like such as medical plants, etc were consisted of 8 types. Therefore, a total of 18 types of Mieum, Misu, and Goeum, etc were have been classified. Among the cooking methods of for Mieum, rice and grains were boiled for an extended longtime and filtered with a sieve to be used as the juicebroth. The Job's tears and millet, etc were mixed into water, or boiled after being made into a powder, soaked into water, and dried. The herbal medicine ingredients such as ginseng were boiled for an extended long time, and once the ingredients are were flown out cooked down, it the broth was filtered with asieve to be used the as a liquid extract. The meat, bone, and shellfish, etc were also boiled for a longn extended time, filtered with a sieve, and made into a juice broth to be used as a drinks from on occasion time to time. These drinks, called Mieum, Misu, and Goeum above, were healthy foods our ancestors used to enjoy for enjoyment drinking, and were also food for remedyies and sources of nutritionon. As Since the meal replacement foods to that replace meals that can be eaten right away while working and studying are needed, due to is required within the our busy schedules of in modern peoplesociety, thise literary investigation and the cooking methods for of Mieum, Misu, and Goeum, which that used to be are our traditional foods, can be are used as a basic research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convenient breakfast to meal replacements breakfast.
조선시대 고조리서와 고문헌고찰을 통한 전통음식인 미음, 미수, 고음류의 조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미음류는 쌀과 잡곡류를 섞어 조리한 미음류 7종류와 견과류에 잡곡류와 한약재료 등을 섞어 조리한 미음류는 3종류이었다. 약초 등 한약 재료에 육류, 조류, 어패류 등을 섞어 조리한 미음류는 7종류로 총 17종류의 미음과 미수, 고음류 등이 분류되었다. 세부적인 조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곡류를 이용한 미음으로 쌀과 조 등은 오랫동안 끓여 즙을 내 체에 받혀 소금간을 하였고, 율무, 수수 등은 수비한 가루를 끓이거나 물에 타 먹었다. (2) 인삼 등 한약재료 등은 오래 동안 끓여 성분이 용출되면 체에 밭여 액즙을 사용하였고 고기, 뼈, 어패류 등도 함께 오랫동안 푹 끓여 체에 받혀 즙으로 만들어 수시로 음료 마시듯이 이용하였다. 갈분, 율무 등은 수비한 가루로 묽게 끓였다. (3) 고기와 어패류를 이용한 미음으로는 고기와 어패류를 함께 푹 끓여 체에 받힌 후 묵은 간장으로 간을 하였으며, 뼈, 양, 도가니 등은 함께 만화로 오랫동안 끓여 체에 밭여 즙으로 짜거나 찹쌀이나 멥쌀로 함께 끓여 섞기도 하였다. 현대인들의 바쁜 일상에 일하면서 공부하면서 바로 먹을 수 있는 식사대체음식이 요구되는바 이에 전통음식이었던 미음, 미수, 고음류의 문헌고찰과 조리방법을 1차적인 연구로 시도하였다. 또한 고 조리서 속 전통음식을 재현한 문헌을 제시하였고 조리방법도 비교하였으며 전통음식을 조리과학적으로 실험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후속 연구로 전통음식을 조리과학적인 실험연구로 전체적인 성분과 조리후의 영양 손실과 잔존여부, 실온상태에서의 보존료가 첨가되지 않은 기간동안의 부패 여부 등과 조리후의 항산화성 등을 실험하고 조리후의 관능평가를 거친 후 상품으로서의 식사대체음식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