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rysomyxa rhododendri에 의한 산철쭉(Rododendron yedoense) 녹병

Rust of Korean Azalea (Rododendron yedoense) Caused by Chrysomyxa rhododendri

  • 도윤정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김형무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이귀재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이왕휴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고정애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Do, Yun-Jeong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g-Moo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Kui-Ja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Wang-Hyu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o, Jeong-A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12.01

초록

2006년 전라북도 전주에서 산철쭉(Rhododendron yedoense)에 녹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처음에는 잎 표면에 황색의 작은 반점을 다수 형성하고, 표피가 갈라지면서 약간 부풀어 오르며, 병이 진전됨에 따라 병반에 황색 또는 갈색의 포자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여름포자퇴는 잎의 앞쪽에 생기고, 잎 표면에 흩어져 있거나 무리를 지어 형성하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이 원형 또는 난형이었다. 황색 또는 황갈색을 나타내고, 크기는 $0.27{\sim}0.46{\times}0.31{\sim}0.6$ mm 이었다. 여름포자는 원형 또는 난형이며, 황색으로 크기는 $17.1{\sim}29.2{\times}12.8{\sim}18.2{\mu}m$이었다. 녹포자 표면의 돌기 높이는 $0.87{\sim}1.72{\mu}m$이며, 돌기의 구조는 Type SA, $2{\sim}3$개의 환상고리(annotation)가 있으며, 돌기의 정단부분은 편평하였다.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Chrysomyxa rhododendri에 의한 산철쭉 녹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Rust disease on Korean Azalea (Rododendron yedoense) was occurred in Jeonju, Jeonbuk province of Korea. The typical symtoms of the disease appeared first as small yellowish spots on leaves. Uredinia were observed at hypophyllous of the leaves, yellow or dark yellow in color and globoid in shape with the size of $0.27{\sim}0.46{\times}0.31{\sim}0.61$ mm. Urediniospores were also observed in the leaves, yellow in color with globoid or ovoid in shape with the size of $17.1{\sim}29.2{\times}12.8{\sim}18.2{\mu}m$. Surface characterization of the spores revealed that these spores have papilla-like projections, which were made of $2{\sim}3$ annulation (SA; small annulate).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s the causative fungus was identified as Chrysomyxa rhododendri.

키워드

참고문헌

  1. Berndt, R. 1999. Chrysomyxa rust :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D-haustoria, uredinia and telia. Can. J. Bot. 77: 1469-1484 https://doi.org/10.1139/cjb-77-10-1469
  2. Crane, P. E. 2000. Systematics and biology of the genus Chrysomyxa (Uredinales). Alverta Univ. 244 pp
  3. 한국식물병리학회. 2004. 한국식물병명목록 (제4판). 한국식물병리학회. 466pp
  4. 일본식물방역협회. 2000. 일본식물병명목록. 576-579 pp
  5. 김종진. 1963. A provisional list of uredinales of Korea. Kor. Jour. Microbio. 1(1):51-61
  6. 김성환. 2001. 韓國産 녹병균目의 分類學的 硏究.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6 pp
  7. 고영진, 김기덕, 김병섭, 김영철, 김영호, 김진원, 김홍기, 신현동, 안경구, 이귀재, 이선우, 이순구, 이승규, 이종규, 전용철, 차병진, 차재순, 천세철, 한상섭. 2006. 식물병리학, 제5판. 월드사이언스. 562-582 pp
  8. Lee, S. K. and Kakishima, M. 1999. Aeciospore surface structures of Gymnosporangium and Roestelia (Uredinales). Mycoscience 40: 109-120 https://doi.org/10.1007/BF02464289
  9. 이영노. 2006. 한국식물도감-2. 교학사. 서울. 16-28
  10. 문병주, 고영진, 이정숙. 2005. 식물병원균류해설. 월드사이언스. 94-108 pp
  11. 平塚直秀. 1939. 鳥取農學會報. 6(3): 186
  12. 류종숙, 이순구. 2004. Gymnosporangium asiaticumse과 G. yamadae 의 형태학적 특징 및 병원성과 강우량에 의한 병발생 차이. 식물병연구 10(3): 175-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