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oval of Copper and Zinc Ions by Neutralization from the Spent Sulfate Solutions of Brass Bulb Base

황동(黃銅) 전구(電球) Base 제조과정(製造過程)에서 발생(發生)한 구리와 아연 함유(含有) 황산폐수(黃酸廢水)의 중화법(中和法)에 의한 제거(除去)

  • Lee, Man-Seung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Science & E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 Ahn, Jae-Woo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Science & Eng., Daejin University) ;
  • Lee, Chang-Ha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이만승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 안재우 (대진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 이창해 (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7.12.27

Abstract

Optimum condition for neutralization has been studied to remove the copper and zinc ions from spent sulfate solutions which resulted from the acid washing of the base of brass bulb. Chemical distribution of copper and zinc species and the variation of solubility of the two ions with solution pH were obtained by considering the complex formation reaction and mass balance. Removal percentage of zinc was more sensitive to solution pH than that of copper. This results from the fact that the solubility of zinc is higher than that of copper. The form of coagulant affected little the removal percentage of zinc, while addition of coagulant as the phase of solution resulted in higher removal percentage of copper than as the phase of solid.

황동 전구 base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황산폐수에 함유된 구리와 아연의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중화법에 의한 최적조건을 조사하였다. 구리와 아연이 함유된 황산용액에 대해 화학반응과 물질수지를 고려하여 용액의 pH에 따른 구리와 아연의 농도분포와 용해도를 구하였다. 구리와 아연의 수산화물이 침전되는 pH영역에서 아연의 용해도가 구리의 용해도보다 크므로, 구리에 비해 아연의 제거율이 용액의 pH에 민감하였다. 응집제로 $Al_2(SO_4)_3$를 첨가하는 경우 아연의 제거율은 응집제의 첨가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구리의 경우에는 용액으로 첨가하는 것이 고체상태로 첨가하는 것보다 제거율이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기문봉, 김닥주,이시진. 1998: 산업폐수처리, 동화기술. pp. 99
  2. Stumm, W. and Morgan, J.J. 1996: Aquatic chemistry,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pp.326
  3. 양운진, 2000: 수질화학, 신광문화사, pp. 205-218
  4. Ji, J. and Cooper, W.C. 1996: Nickel speciation in aqueous chloride solutions, Electrochmica Acta, 41(9), pp. 1549-1560 https://doi.org/10.1016/0013-4686(95)00407-6
  5. Stumm, W. and Morgan, J.J. 1996: Aquatic chemistry,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pp.272-275
  6. 성동모, 윤태일, 1997: PDA를 이용한 응집공정에서의 pH 영향의 on-line monitoring, 대한환경공학회지, 19(11), pp. 1443-1454
  7. 문성용 외,2005: 정수처리용 응집.한외여과 혼성공정에서 응집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7(8), pp. 837-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