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헤어리베치 신품종 조생종 콜드그린과 중만생종 청파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New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Early-Maturing "Cold Green" and Medium-Late Maturing "Cheong Pa"

  • 발행 : 2007.12.31

초록

본 시험의 목적은 대구 경북에 자생하는 헤어리베치로 다수성 조생품종과 중만생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경북 성주와 경남 사천에서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자료수집 및 순화, 생육이 왕성한 조생 및 중만생계통 선발, 상호교잡의 단순순환선발법으로 조생종인 콜드그린과 중만생종인 청파를 육성하였다. 육성종자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경북성주와 경남사천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을 평가하였다. 줄기의 털은 콜드그린과 청파는 있었으나, 헤이메이커프러스와 라티고는 없었다. 잎의 모양은 콜드그린은 엽폭이 넓은 장타원형이고, 청파, 헤이메이커프러스, 라티고는 좁은 장타원형이었다. 꽃색은 콜드그린은 자주색이고 청파는 보라색이었다. 내한성은 성주에서 콜드그린, 청파, 라티고가 헤이메이커프러스 보다 높았으며 사천에서는 차이가 적었다. 개화기는 콜드그린과 헤이메이커프러스가 조생종으로 유사했고 중만생종인 청파는 라티고 보다 다소 빨랐다. 성주에서 건물수량은 콜드그린이 다른 품종 보다 높았으며 청파와 헤이메이커프러스는 라티고 보다 높았다(P<0.05). 2005년 사천에서는 콜드그린과 헤이메이커프러스는 다른 품종보다 높았으며, 청파는 라티고 보다 높았다(P<0.05). 베치의 조단백질 함량은 높고 ADF의 함량은 낮았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high yielding, early and medium-late flowering new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varieties derived from an accession in Korea. Most vigorous early and medium-late flowering hairy vetch lines were selected and crossed by open pollination and their seeds were bulked and plants were reselected at Seongju in the Keongbuk and at Sacheon in the Keongnam. A performance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quality and dry matter(DM) yield of new hairy vetch early-maturing 'Cold green' and medium-late maturing variety 'Cheong pa' at Seongju and Sacheon. 'Cold green' and 'Cheong pa' are hair but 'Haymaker plus' and 'Latigo' are nearly hairless. 'Cold green' has purple flowers while 'Cheong pa' has violet. The cold tolerance of 'Cold green,' 'Cheong pa' and 'Latigo' was higher than 'Haymaker plus' at Seong-ju, Keongbuk province, in inland region but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s at Sacheon, Keongnam province in southern coast region. Fifty percent-flowering dates of 'Cold green' and 'Haymaker plus' had earlier than others and 'Cheong pa' was earlier than 'Latigo'. The DM yield of 'Cold gree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s, but 'Cheong pa' and 'Haymaker plus' had higher than 'Latigo' at Seong-ju(P<0.05). In Sacheon, The DM yield of 'Cold green' and 'Haymaker plus' was higher than others and 'Cheong pa' had higher than 'Latigo'.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찬호. 2000 베치 도입품종의 적응성시험,천안 연암대학 미발표
  2. 농협중앙회. 2007. 2007년도 제1차 목초 및 사료작물품종 수입적응성 심의위원회 자료. pp. 44-52
  3. 박찬호, 이종열, 김동암. 1982. 신고 사료녹비작물학. 향문사. 279-286
  4. 신정남, 고기환. 2000. 베치도입 품종의 사초수량과 사료가치. 계명연구논총 18:441-447
  5. 신정남, 김동암, 고기환, 김용원. 2000. 베치 도입 품종 및 한국 야생종의 생육특성과 수량. 한국초지학회지 20(4):251-258
  6. 신정남, 고기환. 2003. 자생베치와 도입베치의 생육특성과 건물수량 비교. 한국초지학회지 23(4): 223-231
  7. 신정남, 고기환, 김종탁. 2005. 일년생 한지형 콩과사초의 생육특성과 생산성비교. 계명연구논총 23:221-231
  8. 지영린, 최범렬, 최현옥, 이정행, 이은웅, 김희태, 조재영, 박찬호. 1975. 사료 녹비작물학. 향문사. 251-274
  9. 최기준, 임용우, 김기용, 최순호, 성병렬. 김원호, 신동은, 임영철. 2000. 내한 다수성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신품종 '화산101호'. 한국초지학회지 20(1):1-6
  10.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1. Bull. B. and A. Mayfield, 1992. Growing vetch. Bold Images. Australia
  12. Goering, H.L.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No. 376. USDA
  13. Hoveland, C.S. and C.E. Townsend. 1985. Other legumes (winter annual legumes, vetches). In : Heath, M.E., R.E. Barnes and D.S. Metcalfe : Forages (4th Ed.), Iowa State University, Iowa, USA. pp. 149-151
  14. Mayfield, A. 1999. Namoi woolly Pod vetch dynamic spring pasture. 221-224 in pasture plus. Kondinin Group, Australia
  15. Power, J.F. and J.F. Zachariassen, 1993. Relative nitrogen utilization by legume cower crop species at three soil temperatures. Agron. J. 85:134-140 https://doi.org/10.2134/agronj1993.00021962008500010025x
  16. Seedco. 1999. Haymaker Plus. Forbes Seeds & Grain Inc. USA
  17. Torbert, G.A, D.W. Reeves, and R.L. Mulvaney, 1996. Winter legume cover crop benefits to rotaton vs fixed-nitrogen effects. Agron. J. 88: 527-535 https://doi.org/10.2134/agronj1996.00021962008800040005x

피인용 문헌

  1. Change of Seed Yield, Germination Rate and Hard Seed Rate with Harvest Time in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vol.32, pp.2,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2.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