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Culture Soil Type and IBA in Root Initiation of Birdsfoot Trefoil (Lotus corniculatus L.)

배양토 종류 및 IBA 처리가 Birdsfoot Trefoil의 뿌리 유도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o select the most proper soil for root initiation from stem cuts of Birdsfoot trefoil (Lotus corniculatus L.), eight-week-old stem cuts were cultured on three types of soil [commercial bed soil, decomposed granite (DCG), and river sand] for one mon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ot initiation ratios on DCG (77.8%) and river sand (70.0%) were relatively high, but the ratio on commercial bed soil (41.1%) was very low. To examine the effect of rare earth (RE) and Indole-3-Butyric Acid (IBA) on root initiation from stem cuts of Birdsfoot Trefoil, stem cuts were cultured on two types of soil (DCG and river sand) with treatment of RE and IBA for one month. The root initiation ratios turned out to be 90.0% (DCG with 60 ppm of RE), 80.0% (river sand with 20 ppm of RE), 96.7% (DCG with 40 ppm of IBA), and 96.7% (river sand with 40 ppm of IB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ost efficient way for root initiation of Birdsfoot trefoil was to culture the stem cuts on river sand or DCG over 30 days with IBA treatment (40 ppm).

버즈풋 트레포일의 줄기에서 뿌리를 유도함에 있어, 최적의 유도조건을 확립하고자 배양토 종류별, 복합희토 처리 농도별, IBA 처리 농도별로 뿌리 유도율을 조사하였다. 원예농상토, 마사토, 강모래 등 3종류의 배양토에서 뿌리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마사토(77.8%), 강모래(70.0%), 원예용 상토(41.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사토와 강모래에서 복합희토 용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뿌리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마사토에서는 복합희토 용액 60 ppm 처리에서 90.0%로 높게 나타났고, 강모래에서는 복합희토 용액 20 ppm 처리에서 80.0%로 높게 나타났다. 마사토와 강모래에서 IBA 용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뿌리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마사토와 강모래를 사용한 두 처리 모두 40 ppm에서 뿌리 유도율이 96.7%로 동일하게 최고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포장에서 재배하고 있는 버즈풋 트레포일의 영양체증식을 하기 위해서는 버즈풋 트레포일 줄기를 절단하여 강모래나 마사토에 삽지 후 IBA 용액을 40 ppm 농도로 처리하여 30일 이상 배양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관호, 오월선, 구대회, 은종선, 김형무. 2005. 산호수(Ardisia pusilla DC.)의 기내 대량번식. 식물생명공학회지 32(4):281-285
  2. 김기용, 임용우, 최기준, 성병렬. 1999. 버즈풋 트레포일 종자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BOi2Y 배지에서 식물체 재분화. 한초지 19(4):303-308
  3. 김기용, 최기준, 성병렬, 임용우, 박근제, 장요순, 조진기. 2001a. IBA 처리에 의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줄기 절단면에서 뿌리 분화 유도. 한초지 21(1):31-34
  4. 김기용, 최기준, 성병렬, 임용우, 엄영철, 장요순, 김원호. 2001b. IBA 처리에 의한 버즈풋 트레포 일 줄기 절단변에서 뿌리 분화. 한초지 21(1):35-38
  5. 김기용, 성병렬, 임용우, 최기준, 임영철, 장요순, 정의수, 김원호, 김종근. 2001c. BcHSP17.6 유전자 도입에 의한 버즈풋 트레포일의 형질전환. 한초지 21(3):145-150
  6. 김기용, 최영진, 임용우, 성병렬, 이상진, 양주성, 한범수, 김종범, 이병현. 2004. 버즈풋 트레포일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치사온도 결정. 한초지 24(4):341-346
  7. 김기용, 장요순, 김맹중, 임근발, 김원호, 서 성, 이상진, 곽상수. 2005. 'SWPA2 프로모터 + AtNDPK2 유전자' 도입에 의한 버즈풋 트레포일 형질전환체 생산. 한초지 25(4):281-286 https://doi.org/10.5333/KGFS.2005.25.4.281
  8. 김기용, 장요순, 최기준, 성병렬, 김원호, 서 성, 이병현, 곽상수. 2006. E35S 프로모터 + AtNDPK2 유전자 도입에 의한 버즈풋 트레포일(Lotus corniculatus L.) 형질전환체 생산. 한초지 26(2):83-90 https://doi.org/10.5333/KGFS.2006.26.2.083
  9. 김용욱, 문홍규. 2005. 양다래의 엽조직 캘러스를 이용한 세포 현탁배양으로부터 식물체 유도. 식물생명공학회지 32(4):287-292
  10. 박윤영, 조문수, 이영득, 정종배, 박신, 정병룔, 박상규. 2007. 고추냉이 정단배양에 있어서 BA 농도 및 배양방법에 따른 기내증식 효과. 식물생명공학회지 34(1): 1-6 https://doi.org/10.5010/JPB.2007.34.1.001
  11. 백기엽, 유광진, 박상일. 1997. 기내증식된 지황묘의 기내 빚 기외 발근. 식물조직배양학회지 24:335-340
  12. 손대영, 김기용 장요순, 이효신, 원성혜, 이병현, 김미혜, 조진기. 2001. IBA 처리에 의한 알팔파 줄기 절단면에서 뿌리 분화. 한초지 21(1):27-30
  13. 온형근. 2006. 조경수의 유성번식. http://www.xpert.co.kr/myhome/namu. pp. 18-21
  14. 정재훈, 유기원, 김선자, 최용의, 백기엽. 2004. 지황 부정근을 이용한 식물체 재분화 및 생물반응기 배양. 식물생명공학회지 31(1):55-60
  15. 박홍석, 한강남, 허삼남, 손재권. 2004. 희토광물 (Rare earth) 이용 농용 신소재 개발. 농림특정연구과제 보고서 pp.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