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 굴착에 의한 화강암 대수층의 수리 수문 및 지하수위변동 분석

Analyses of Hydrology and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in Granite Aquifer with Tunnel Excavation

  • 정상용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김병우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강동환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심병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 정상원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Chung, Sang-Y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Byung-W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Dong-Hwa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Shim, Byoung-Ohan (Korean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
  • Cheong, Sang-W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12.30

초록

수락산 터널지역 내 8개 시추공에서 조사된 기반암의 평균 수리전도도 $2.64{\times}10^{-8}m/sec$, 평균 RQD 78%, 평균공극율 0.51% 및 지하수위는 $77.06{\sim}125.97m$의 범위이었다. 지하수위와 표고간의 회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수락산 터널 지역 내 두 개의 정상부에서 지하수위를 추정하여 구한 터널 구간의 평균적인 수평수리경사는 0.267 이었다. 수락산 터널 구간에서 현장투수시험에 의해 구해진 최소 수리전도도는 $5.56{\times}10^{-9}m/sec$, 최대 수리전도도는 $6.12{\times}10^{-8}m/sec$, 평균 수리전도도는 $2.64{\times}10^{-8}m/sec$ 이었다. 최소, 최대 및 평균 수리전도도와 평균적인 수평수리경사를 이용하여 산정된 수락산 터널 구간 내에서의 단위 길이 당 지하수 유출량은 각각 $0.00585m^2/day,\;0.06434m^2/day$$0.02775m^2/day$ 이었다. 물수지분석에 의한 연구지역 내 단위함양유역 당 순수지하수함양율은 224mm/yr로 산정되었다. 터널굴착이 완료된 후 최소, 최대 및 평균 수리전도도를 적용한 지하수위 변동예측 모사에 의하면 수리전도도가 낮을수록 터널 내로의 유출량은 적었지만, 지하수위 강하량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최대 수리전도도를 적용한 모사 시에는 터널로의 유출량이 크지만, 대수층으로의 충진이 빠르게 발생하여 지하수위가 짧은 시간에 회복되었다.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y was $2.64{\times}10^{-8}m/sec$ average RQD was 78%, average porosity was 0.51%, and range of groundwater level was $77.06{\sim}125.97m$ by measured in 8 boreholes at the Surak Mt. tunnel area. Groundwater level of two peaks in the Surak Mt. tunnel area were estimated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groundwater level versus elevation. And, average horizontal hydraulic gradient in the Surak Mt. tunnel area was calculated 0.267. Minimum, maximum, and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ies that estimated by field tests were $5.56{\times}10^{-9}m/sec,\;6.12{\times}10^{-8}m/sec,\;and\;2.64{\times}10^{-8}m/sec$, respectively. Groundwater discharge rates per 1 meter that estimated using minimum, maximum, and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ies and average horizontal hydraulic gradient were $0.00585m^2/day,\;0.06434m^2/day,\;and\;0.02775m^2/day$, respectively. Pure groundwater recharge rate per unit recharge area was calculated 223.96 mm/yr through water balance analysis. Prediction simulation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with minimum, maximum, and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ies were conducted. Discharge rate into the Surak Mt. tunnel for minimum hydraulic conductivity was small, but groundwaer drawdown was highly. Discharge rate into the Surak Mt. tunnel for maximum hydraulic conductivity was higher, but groundwaer level was recovered quickly.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재현, 함세영, 성익환, 이병대, 정재열, 2001, 청송군 현서면 일대 도수로 터널내 지하수 유입량과 수리지질 특성의 관련성, 지질공학, 11(2), p.141-152
  2. 심병완, 정상용, 강동환, 김규범, 박희영, 2000, 영산강 섬진강 유역의 지하수 데이터베이스 자료에 대한 지구통계학적 분석, 지질공학, 10(2), p.131-142
  3. 이정인, 조태진, 이연규, 1997, 암석역학을 이용한 터널 설계, 359p
  4. 서울고속도로(주), 2001, 서울외곽순환(일산-퇴계원) 고속 도로 수락산불암산 터널 관통에 의한 수리변동분석 보고서, 261p
  5. 이병대, 성익환, 함세영, 조병욱, 김정숙, 박재현, 2000, 도수로터널 굴착에 따른 주변 지역의 지하수위 변동과 단열구조의 관련성 연구, 지질공학, 10(2), p.143-162
  6. 이병대, 추창오, 이봉주, 조병욱, 함세영, 임현철, 2003,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지하수위 회복 예측 수치 모델링,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6(6), p.431-440
  7. 이병대, 함세영, 이춘오, 조병욱, 성익환, 2001, 도수로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 유출량과 단열의 관련성, 지질공학, 11(3), p.327-337
  8. 정상원, 정상용, 2002, 서울시 북동부의 서울화강암에 대한 불연속면의 특성, 지질공학, 12(2), p.167-178
  9. 정상용, 유인걸, 윤명재, 권해우, 허선희, 1999, 불균질이 방성 대수층의 지하수 유동분석에 지구통계기법의 응용, 지질공학, 제9권, 2호, p.147-159
  10. 조병욱, 성익환, 이병대, 추창오, 김통권, 이인호, 최경국, 김정숙, 1999, 터널내 구간별 지하수 유입량 산정방법 : 유속계 이용, 자원환경지질, 32(6), p.661-667
  11. 한국수자원공사, 1994, 지하수 이용관리방안 수립 및 대체용수원 개발지역 선정 조사 보고서, 450p
  12. 한정상, 한찬, 1998, 3차원 지하수모델과 응용, 박영사, 1390p
  13. 홍승천, 이병주, 황상기, 1982, 한국지질도 1:50,000, 한국동력자원연구소, 44p
  14. Domenico, P. A., and Schwartz, F. W., 1998, Physical and Chemical Hydrogeology, 2nd edition, John Wiely & Sons, Inc, 506p
  15. Walton, W. C., 1988, Groundwater Pumping Tests, Lewis Publishers Inc., p.9-34
  16. Waterloo Hydrogeologic, Inc., 1998, Visual MODFLOW, version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