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유역의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in Nakdong River Watershed

  • 양정석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 안태연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Yang, Jeong-Seok (School of Construction System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
  • Ahn, Tae-Yeon (School of Construction System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 발행 : 2007.12.30

초록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를 낙동강 유역의 여러 관측소 자료를 근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강우자료와 강우관측소의 하류 방향으로 인접한 지하수위 관측소의 지하수위자료를 비교분석하였고 강우자료를 여러 범위의 기간 동안 이동평균하여 지하수위자료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최대상관계수를 가지는 이동평균기간을 구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강우와 지하수위의 분석에서 대체로 12월에서 4월까지 갈수기에서 지하수위의 현저한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고 지하수 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0일에서 80일 범위의 이동평균값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구할 수 있었다.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GW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observation data in Nakdong river watershed. The precipitation data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GWL data from adjacent observation point to the precipitation gauge st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with several averaging periods and GWL were analyzed and we could choose the averaging period that produces maximum correlation. A severe drawdown was observed from December to April. The maximum correlations between GW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were occurred from 20-day to 80-day averaging period.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재현, 최용선, 김대근, 박창근, 양정석, 2005, 일 강우 자료를 이용한 지하댐 운영지표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발표논문집
  2. 양정석, 박재현, 박창근, 정교철, 2005, 한계침투량을 고려한 쌍천유역의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 지질공학회지, 15(3), 303-307
  3. 양정석, 임창화, 박재현, 박창근, 2006, 쌍천유역의 지하 수위와 융설 효과를 고려한 GOI의 상관관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9(2), 121-125 https://doi.org/10.3741/JKWRA.2006.39.2.121
  4. Guttman, Nathaniel B, 1999, Accept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 A Calculation Algorithm,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5(2), 311-322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9.tb03592.x
  5. Wilhite, D. A., and Glantz, M. H.,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 The Role of Definition., Water international, 10, 111-120 https://doi.org/10.1080/02508068508686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