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ensibility Image of Christian Dior Make-Up - Comparison of Sensibility Image between Make-Up and Fashion -

크리스찬 디올 메이크업의 감성 이미지 분석 - 메이크업과 패션의 감성 이미지 비교 -

  • Lee, Youn-Jeong (Dept. of Skin Esthetics & Beauty Design, Choonhae College) ;
  • Chun, Hei-Jung (Dept. of Cloth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 이윤정 (춘해대학 피부미용디자인과) ;
  • 전혜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image components of make-up image between fashion and advertisement of Christian Dior, also, this study examined, compared and analyzed their aesthetic characters. Then, it researched whether brand image was shaped exactly as the same method or not. The study was theoretical and established method; using more than a graduate student-major in clothing and make up, survey$(2004.5{\sim}6.)$ and SPSS 10 program statistics method. As the results, in Dior fashion and make-up,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shape, color, material and texture, and both of them indicated the aspects of chic, classic, gorgeous and romantic image. Also, consumers understood them as a same image. This demonstrated that Christian Dior fashion and make-up have been shaping toward a same image as a same meaning.

Keywords

References

  1. 김희숙 (1999). 20세기 한국과 서양의 여성 화장문화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송보영 (1997). 한국.중국.일본 여성의 색조화장 문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이윤정 (2006). 크리스찬 디올 패션의 감성 이미지 연구. 복식, 56(8)
  4. 이경희 (2001). 패션 감성의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5(3)
  5. 박수진 (1999). 표면디자인에 대한 감성 공간 모형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애경 (2003).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Head Image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경희, 김유진 (2001). 패션감성의 척도화 과정. 한국감성과학회지, 4(1)
  8. 이선화 (2003). 바로크와 로코코 시대 플로럴 패턴의 조형성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Christian Dior Cosmetic. LVMH 기업 세계매출액 분포도. p.12
  10. Christian Dior Cosmetic. 메이크업 광고 자료, 디올 메이크업 스토리
  11. Vogue USA, 1981년 1월-2004년 8월
  12. David Bond, 정현숙 역 (1992). 20세기 패션. 경춘사, p. 136
  13. David Bond (1992). Glamour in Fashion. Guiness Publishing, p. 241
  14. 유송옥, 이은영 외 (1998). 복식문화. 교문사, p. 234
  15. 유송옥, 이은영 외 (1998). 복식문화. 교문사, p. 235
  16. 김영인 (2004). 한국여성의 색조화장. 도서출판 국제, p. 20
  17. Phyllis G. Tortora & Keith Eubank (1994). Historic Costume-a History of Western Dress. Fairchild Publications, p. 491
  18. 천지연 외 (2003). Faces in Make Up. 청구문화사, p. 37
  19. 김희숙 (2000). 화장문화사. 청구문화사, p. 235
  20. 김영인 (2004). 한국여성의 색조화장. 도서출판 국제, p. 132
  21. 김영인 (2004). 한국여성의 색조화장. 도서출판 국제, p. 63
  22. 천지연 외 (2003). Faces in Make Up. 청구문화사, p. 39
  23. 1954,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24. 1969,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25. 1973,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26. 1987,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27. 1994,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28. 나현신 (2001). 복식의 역사적 절충주의 양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2
  29. 이윤정 (2003). 크리스찬 디올 화장품의 메이크업 광고와 국내 화장품 메이크업 광고의 메이크업 이미지 비교 연구. 춘해대학 논문집, 15, p. 352
  30. BEAUTY Collection. 동아 TV, 2003 S/S, p. 133, pp. 136-139, p. 183
  31. 2000 Spring,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32. 2002 Summer,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33. 2002 Autumn,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34. 2002 Winter,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35. 2003 Spring,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36. 2003 Summer,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37. 2003 Autumn, 크리스찬 디올사 메이크업 광고자료
  38. 이윤정 (2006). 크리스찬 디올 패션의 감성 이미지 연구. 복식, 56(8), p.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