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중심학습(PBL)에 기초한 로봇교육 프로그램이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과학고등학교사례 -

The Effects on Improving Creativity with a PBL-based Robot Education Program - Case of a Science High School -

  • 서형업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교육학과)
  • Suh, Hyeong-Eob (School of Industrial Technology Education, Graduate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12.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력 향상을 목표로 문제중심학습(PBL)에 기초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로봇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며, 또한, 개발된 로봇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력 향상에 효과적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고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로봇교육 프로그램 22차시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로 8개 팀이 자기 주도적으로 창의적 로봇을 제작할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로봇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에 따른 창의력 향상 정도를 성별, 학업성취도에 따라 분석을 하였다. TTCT 창의력 검사 결과 창의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으며 특히, 창의력 하위 요소인 독창성의 향상에 큰 효과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적용에서 성별간의 창의력 향상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에 따른 창의력 향상의 차이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성취도가 ‘하’영역 학생의 창의력 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이 로봇교육 프로그램은 공과대학 소개 프로그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atic and effective PBL-based robot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creativity, and to analyze its effect on improving creativity of students in a science high school. The programs for 22 classes, designed to be used in a science high school,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8 teams got the abilities to independently build their own robots throughout all the process. The resultant improvement in creativity was analyzed in terms of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TTCT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eativity, especially the greatest in a subcategory 'originalit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ity by gender,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creativity by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the lowest group (Ha)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creativity. This robot education program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introductory one for the college of engineer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기술교육연구회(2001).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기술교육 자료집. 강원도교육청
  2. 교육인적자원부(2002). 컴퓨터 과학I. 지학사
  3. 교육인적자원부(2002). 자동화설비. 대한교과서
  4. 권오석외 3인(2006). 라인트레이서. 서울교과서
  5. 김경채외 3인(2006). 마이크로프로세서. 서울교과서
  6. 김남수(2004). 로봇시대를 대비한 사회과교육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7. 김문한(2005). 로봇 이야기. 동아시아
  8. 김선태(2005). Cylearn을 적용한 교수.학습 우수사례 및 최신 교수.학습 동향. 직업교육 내실화 를 위한 cylearn 교수.학습 콘텐츠 적용 시.도별 우수 사례 발표회 자료, pp81-101
  9. 김성문(2005). 로봇학습을 통한 실과 전자단원의 아동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성애, 정동양(2005). 중학교 기술교과에서의 "로봇"활용 교육방안 모색. 기술교육학회 발표자료
  11. 김익수(2007). 공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학생들의 행동목표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김주훈 외(1996). 영재를 위한 심화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어, 사회, 수학, 과학을 중심으 로- ,한국교육개발원, 수탁 연구 CR96-25
  13. 김종환외 8인(2002). 로봇 축구 공학. KAIST PRESS
  14. 김창화외 2인(2003). LEGO로 즐기는 로봇공학. 연이문화사
  15. 김태완(2005). MINDSTORMS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김태훈(2007). 효율적.비효율적 문제 해결자의 기술적 문제해결 과정의 비교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김호종(2006). 실용 트리즈(기초편). 두양사
  18. 남현정(2004). 트리즈를 적용한 창의적 디자인발상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연구. 국민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도지마 와코(2002). 로봇의 시대. 사이언스북스
  20. 레고 마인드스톰 유저가이드. LEGO
  21. 로보랩 학습 가이드. LEGO
  22. 류창렬(2005). 기술적 창조성과 혁신의 의미탐색. 2005년도 한국기술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11-42
  23. 문대영(2001). 초 . 중등학교 학생의 적응자.혁신자 역할 분담 문제 해결 활동이 창의력 개발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박경용외 5인(2003). 메카트로닉스(I). 한국교과서주식회사
  25. 박경용외 5인(2003). 메카트로닉스(II). 한국교과서주식회사
  26. 배영권(2006).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모형.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7. 배일한(2003). 인터넷 다음은 로봇이다. 동아시아
  28. 변증남(2002). 서비스 로봇의 발전 방향과 연구 이슈
  29. 오은영(2003). 문제중심학습(PBL)에서 구성주의적 문제설계를 위한 처방적 모형 개발.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오해진(2005). PBL을 적용한 중학교 컴퓨터 교과 수업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유구종(2000). 유아연구를 중심으로 한 교육 통계. 창지사
  32. 유인환(2005).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의 가능성 탐색. 교육과학연구 제 36집 제2호
  33. 윤종수(2003). 마이크로 로봇 제작 교육 프로그램. 과학재단 교사현장연구보고서
  34. 윤지녕(2000). 마이크로 로봇 바이블. 성안당
  35. 이계선(2006). 프로젝트 기반의 로봇제어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의 설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이명우.김민식(2003). 창작로봇 Create Robot. 이지텍크
  37. 이상갑(2002). 로봇을 주제로 한 기술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1
  38. 이좌택(2004). 문제기반학습에 터한 로봇제어 프로그래밍 수업이 중학생의 논리 사고력에 미치 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9. 이재용외 4인(2006). 로봇재료. 서울교과서
  40. 이창훈(2007). 창의공학설계 교육프로그램이 공학 입문자의 창의력과 공학설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1. 장수웅(2002). 기술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 수업을 위한 수행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교원대 학교 박사학위 논문
  42. 장재성(2002).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기르는 중학생 로봇 체험 활동 프로그램 개발. 과학문화재 단 보고서
  43. 전경원(2006).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44. 정건오(2004). 로봇 지능화의 최근 기술 동향 및 전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5. 정도건외 3인(2005). 정보영재교재(로봇창작반). 부산광역시 정보영재교육원
  46. 정연성(2004). 초등학교에서의 로봇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경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47. 조현철(2003).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활용. 과학재단 교사현장연구보고서
  48. 겐리흐 알트슐러(2006). 창의성은 과학이다. 도서출판 인터비젼
  49. 최유현(2002). 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실과교육학회지16-3, 75-90
  50. 카이로봇 매뉴얼. 카이맥스
  51. 카이스트(KAIST)지능로봇연구센터. 국제로봇올림피아드의 교육적 활용방안
  52. 함희정(2007).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중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모형. 강원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53. 홍명숙(2005). 로봇특성화반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4. 황동주(2006). 문제중심학습 세미나 자료
  55. Andrew L. G.(2005). K-12 Summer Engineering Outreach Program-Curriculum Comparisons Between Age, Minorities, and Gender. ASEE Session 1793
  56. Arthur J. C.(2004). 창의성계발과 교육. 학지사
  57. Dave B.(2002). Definitive Guide to LEGO MINDSTORMS. Second Edition. apress
  58. Edward, L. & Monika L. & J. William, S. (2000). 창의적 문제해결과 공학설계. 파워북
  59. Faruk T. et al.(2005). Teaching Basic engineering Concept in a K-12 Environment Using LEGO Bricks and Robotics. ASEE
  60. Griffth, D. S.(2005). FRIST robotics as a model for experiential problem-based learning; A comparison of student attitudes and interest in science, mathematics, engineering, and technology. Clemson University
  61. Gregory L. P.(2005). Piloting Balanced Curriculum in Electrical Engineering - Introduction Robotics. ASEE
  62. Jeff E.(2004). 10 Cool LEGO MINDSTORMS Robotics Invention System 2 Projects. SYNGRESS
  63. Jin S.(2003). Jin Sato's LEGO MINDSTORMS. The Master's Technique. NO STARCH PRESS
  64. Lawrence j. G. & Celeste E. O.(2005). K-12 Engineering Education Field Experience. ASEE Session XX10
  65. Mario, F. & Giulio, F. & Ralph, H.(2002). Building Robots With LEGO MINDSTORMS: The Ultimate Tool for MINDSTORMS Maniacs. SYNGRESS
  66. Varnado, T. E.(2005). The effects of a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ctivity on FIRST LEGO league participants' problem solving style and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irginia Tech, Blacksburg, Virginia
  67. Verner, I. M. & Ahlgren, D. j.(2004). Conceptual educational approaches in introductory robo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education 41(3), 183-201 https://doi.org/10.7227/IJEEE.41.3.1
  68. Yousef H.(2004). 창의적 공학설계. 서울 시그마프레스(주)
  69. 鈴木隆司(2002). On "Robot Contest" classes in technology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 日本産業技術 敎育學會紙 44(2), 145-151
  70. 高橋友一외(2003). 소형ロボットの基礎技術と 制作. 共立出版株式會社
  71. 佐藤政次(2004). ROBO-ONE のための二足步行ロボット制作ガイド. オ-ム社
  72. 田村正隆(2005). ロボット. ナツメ社
  73. 職業能力開發敎材委員會(1987). ロボットI-マイコン應用技術I,II. 廣渧堂 出版
  74. 門田和雄(2003). ロボコンに挑戰, 圖解 もの創りのための おもしろいロボット工學. 技術評論社
  75. 門田和雄(2006). ロボット創造館. オ-ム社
  76. 田中喜美 외(2003). 自動化からはじめるコンピュータ學習. 技術敎育硏究會
  77. 日本 中學校 技術.家庭科 敎師用 資料(2001)
  78. 대한로봇축구협회. http://www.krsa.org
  79. 로보로보 꿈나무 로봇창의교실. http://www.roborobo.co.kr
  80. 와우로봇. http://robot01.com
  81. 유진로보틱스. http://www.yujinrobot.com
  82. (주)하늘아이. http://www.skyschool.net
  83. (주)미니로봇. http://www.minirobot.co.kr
  84. 카이로봇. http://www.kairobo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