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Competition and Dependency on Issue Attributes: Issue Competi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Activists on the Issue of Screen Quota

소스 경쟁과 의제속성 의존: 스크린쿼터를 둘러싼 정부와 시민단체의 영향력 분석

  • 김영욱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Published : 2007.08.14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how the media reflects the source competition between the activist group and the governmental source in the news contents. Media ideology and the conflict phase also were chosen as situational variables for evaluating how those variables could influence the source competition process. To answer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chose the 'screen quota' issue as a research unit and analyzed documents from three sources, media news, the activist group for maintaining screen quota, and the governmental source during six years and three month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overnment source played a primary definer role in media reporting related to the screen quota issue, compared to the activist group. The governmental source's primary definer role was maintained against the highly contested social issue while the media ideology, to some degree, leveraged the activist group's comparatively unstable primary definer power. The governmental source's primary definer role was escalated as the conflict phase evolved.

이 연구의 목적은 소스 경쟁 과정에서 시민단체 소스가 정부 소스와 어떻게 경쟁하고 있으며, 언론보도에 어떠한 형태로 반영되는지 비교 분석해보는 것이다. 이와 함께 세부적인 영향 요인으로서 언론보도 이데올로기, 갈등 사안의 발전 단계가 어떻게 소스 간 경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설정한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스크린쿼터를 분석의제로 삼고 언론보도, 스크린쿼터문화연대, 정부기관의 6년 3개월간 관련 문건을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크린쿼터와 관련한 언론보도에서 전반적으로 시민단체에 비해 정부의 중요 정의자 역할이 더 우세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하지만 언론의 보도 이데올로기에 따라서 시민단체의 소스 역할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크린쿼터와 같은 사회적 논란이 많은 사건에서 시민단체의 목소리가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지만 그것이 아직 정부에 대한 소스 의존을 넘어설 정도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그러한 현상은 갈등이 심해질수록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표 이론의 예상을 뒤엎는 것이다. 세부 속성을 통한 의존 정도를 살펴보면 '가공 현상'과 '증폭 현상' 등 소스 반영 형태의 다른 특징들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스 경쟁 이론'을 향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명제들을 제시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