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를 위한 호안평가기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Revetment for Nature-Friendly River Improvement

  • 김윤환 (호남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박남희 (호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 진영훈 (호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 김철 (호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Kim, Yun-Hwa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Honam University) ;
  • Park, Nam-Hee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Honam University) ;
  • Jin, Young-Ho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Honam University) ;
  • Kim, Chul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onam University)
  • 발행 : 2007.12.31

초록

과거 치수적 목적에 의해 진행하던 하천정비방식이 최근에 친환경적 개념의 정비방식으로 전환되면서 하천살리기 운동을 비롯해 하천의 환경기능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며 전국적으로 자연형 하천정비 또는 친환경적 하천 복원 등의 사업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호안공법 또한 자연형 하천정비 개념의 도입이후 다양한 호안공법이 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적합한 호안공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하천의 환경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를 위한 호안의 평가지표 및 기법의 개발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현장조사에 의한 세부조사항목들을 활용한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수리적 안정성 부분의 평가 항목은 유선형태, 하상경사, 유속, 소류력비의 4개 항목이며, 환경성 부분은 호안식생, 하천수의 상태, 고수부지의 토지이용, 고수부지 재료, 고수부지 식생의 5가지 항목이다. 평가방법은 각 평가 항목별로 1$\sim$5점의 점수를 부여하여 평가하였고 수리적 안정성과 환경성 부분의 평균 점수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평가방법의 적용결과 다수의 기존 호안이 수리적 안정성에 과도하게 편중되어 있고 환경성의 고려는 매우 미흡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은 향후 하천의 호안설계 및 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초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existing river improvement methods for flood control purpose have changed into nature friendly river improvement methods and the efforts to improve the river environment including river restoration have been made, and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and nature friendly river restoration are actively conducted all over the country.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various revetment methods are u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rivers need to be considered to apply more suitable revetment methods. Therefore, as a precedent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revetment evaluation techniques and methods for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the present study suggested evaluation techniques using detailed survey items through field survey. Evaluation items of hydraulic stability consist of mode of streamline, stream bed gradient, flow velocity and tractive force ratio and those of environmental efficiency consist of revetment of vegetation, state of river water, land use of the terrace land on the river, vegetation and materials of the terrace land on the river. Each item was graded with the point 1 through 5. Hydraulic stability and environmental efficiency was evaluated by the points which were averaged in each items. As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evaluation technique, it was found that a number of existing revetments excessively focus on hydraulic stability with little consideration about environmental term.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n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a base for providing guidelines to construc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revetments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1999). 섬진강수계 치수사업 실시설계(8차) 하천환경관리계획 및 하천환경정비사업 보고서
  2. 건설부 (1994). 하천공사 표준시방서, P.3-25
  3. 광주광역시 (2000). 광주천 하천정비기본계획
  4. 광주광역시 (2005). 풍영정천 하천정비기본계획
  5. 국립방재연구소 (2000). '자연형 하천공법의 재해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II).' 행정자치부
  6. 국립방재연구소 (2004). '자연형 소하천 정비공법 개발(III).' 행정자치부
  7. 김영호 (2005). 종.횡단 특성에 다른 자연형 호안공법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8. 박봉진, 성영두, 강태호 (2003). '우리나라의 하천특성을 고려한 하천자연도 평가의 제안.'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6호, pp.92-103
  9. 박봉진, 신종이, 정관수 (2005a).'하천의 생물서식처 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평가 : I. 평가방법의 제안.'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1호, pp. 37-48 https://doi.org/10.3741/JKWRA.2005.38.1.037
  10. 박봉진, 신종이, 정관수 (2005b). '하천의 생물서식처 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평가 : II. 평가방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1호, pp. 49-57 https://doi.org/10.3741/JKWRA.2005.38.1.049
  11. 백경종 (2000). '하천 저수로 호안의 친환경적 조성기법의 개발.' 토지개발기술, 2000년 제2호, pp.146-159
  12. 임채만 (2005). 중.소규모 하천에서의 제방 비탈경사에 따른 수리특성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13. 전라남도 (2000a). 고치천 하천정비기본계획
  14. 전라남도 (2000b). 유정천 하천정비기본계획
  15. 전라남도 (2000c). 평화천 하천정비기본계획
  16. 전라남도 (2002). 북이천 하천정비기본계획
  17. 전라남도 (2004). 산정천 하천정비기본계획
  18. 전라북도 (1991). 요천 하천정비기본계획
  19. 조용현 (1997).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평가방법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 충청남도 (2001). 청지천 하천정비기본계획
  21. 환경부 (2002). 하천복원 가이드라인
  22. 建設省 (1996). 河道計劃 策定の 案內指針(案)
  23. Iow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06). How to Control Streambank Erosion
  24. Washington State Aquatic Habitat Guidelines Program (2003). Integrated Streambank Protection Guidelines

피인용 문헌

  1. Evaluation of Hydraulic Stability Using Real Scale Experimental on Porous Concrete Revetment Block vol.20, pp.2, 2016, https://doi.org/10.11112/jksmi.2016.20.2.122
  2. A Study on Stability of Levee Revetment in Meandering Channel vol.48, pp.12,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12.1077
  3. Suggestion of Riprap Revetments Design Techniques considering River Meandering vol.14, pp.6,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6.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