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구조모형의 성별 비교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A Gender Comparison to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Life Satisfaction

  • 발행 : 2007.05.31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들의 주관적 삶의 질 관련요인을 밝히고, 그 구조모형에서 성별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려는 것이다. 이는 젠더와 장애라는 이중적 불이익을 안고 있는 여성장애인의 삶의 질을 남성장애인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서 여성장애인 문제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을 상향모델과 하향모델의 통합모델로 설명할 수 있었다. 남녀 장애인 모두에서 장애의 심각성이라는 객관적 조건보다는 자존감, 사회적 지지 인식 등 상황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장애인의 경우 객관적인 사회경제적 상태와 자존감이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데 보다 중요한 변수였고, 남성장애인의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가 보다 중요한 변수였다. 본문에서 연구결과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 (1) to find out subjective well-being structural model of people with disabilities, (2) to compare the female's subjective well-being structural model with male'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of non-disabled, I applied a integrative model of bottom-up and top-down theories to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ata were gathered from 497 persons with disabilities(253 males and 244 females) in Korea.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female's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not different to male's. In female group, the objective life conditions(the level of education, family income, and to have jobs or not) and self esteems are important variables in subjective well-be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male group, on the other side, recognition about social support level is important variable.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