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ying Polite level Estimation and Case-Based Reasoning to Context-Aware Mobile Interface System

존대등분 계산법과 사례기반추론을 활용한 상황 인식형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 Kwon, Oh-Byung (School of Intermational Management, Kyunghee University) ;
  • Choi, Suk-Ja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 University) ;
  • Park, Tae-Hwan (School of Intermational Management, Kyunghee University)
  • 권오병 (경희대학교 국제경영학부) ;
  • 최석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 박태환 (경희대학교 국제경영학부)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User interface has been regarded as a crucial issue to increase the acceptance of mobile services. In special, even though to what extent the machine as speaker communicates with human as listener in a timely and polite manner is important, fundamental studies to come up with these issues have been very rare. H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methodology of estimating politeness level in a certain context-aware setting and then to design a context-aware system for polite mobile interface. We will focus on Korean language for the polite level estimation simply because the polite interface would highly depend on 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model, which amends Minkowski aggregation model, is adopted as a privacy-preserving similarity evaluation for case retrieval under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such as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paper, simulation-based experiment with drama cases has performed to show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paper.

모바일 서비스의 수용성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모바일 인터페이스에서 청자(listner)인 인간에게 화자(Speaker)인 기계가 어떻게 시의 적절한 대화를 하는가는 수용성에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 존대등분 계산법을 제안하여 이에 근거한 시의 적절한 대화를 지원하는 상황 인식형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존대등분 계산은 문화별 및 언어별로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한국어를 대상으로 계산법을 제안하려고 한다. 유비쿼터스 환경과 같은 분산 환경에서 사생활 정보를 보호하면서 사례기반 추론을 수행하기 위해 기존의 Minkowski aggregation 방법을 수정한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방법론의 사용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드라마 사례를 가지고 시뮬레이션 기반의 성능 비교를 수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