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itoring o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Restoration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o offer basic data for resto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this researcher did monitoring on the restoration project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mplemented in Dadohaesang(Marine) National Park for three years starting the year 2005,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job of tree height and survival rate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n the 5 model afforestation-testing sites subsequent to the slanting surface, size of island, and whether the pastured livestock exist or not, it was found that the tree height & survival rate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planted on the ridge parts of the southwest slanting surface were in better condition than those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planted on the ridge parts of the northeast slanting surface. The survival rate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tree planted on a big island was reveal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tree planted on a small island. In addition, the survival rate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tree planted in a place where livestock was pastured was revealed to be much lower than that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tree planted in a place where there was no livestock. Conclusively, there showed a good tree hight and survival rate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tree planted on the ridge parts of the southwest slanting surface, on a big island, and at the place where there was no pastured livestock.

상록활엽수림의 복원 사업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행하여 상록활엽수림 복원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시행한 상록활엽수림 복원 사업을 2005년부터 3년간 모니터링하였다. 5개 시범녹화시험지에서 사면, 섬 크기, 방사가축의 유 무에 따른 생장량과 활착률을 모니터링하였다. 남서사면 능선부에 식재한 상록활엽수의 수고 생장량과 활착률이 북동사면 능선부에 식재한 상록활엽수보다 더 양호하였다. 큰 섬에서 상록활엽수의 활착률이 작은섬보다 높게 나타났다. 방사가축이 있는 곳의 상록활엽수 활착률이 방사가축이 없는 곳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남서사면능선부, 큰섬, 방사가축이 없는 곳에서 상록활엽수림의 생장량과 활착률이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현(2006) 리싸이클링에코녹화공법을 이용한 자연식생 재현시 식재수목유형별 생장 변화모니터링. 호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쪽
  2. 김재준, 이재근(2002) 자생수목의 종자를 이용한 절개지의 복원-THE EASTVALLEY C.C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4) : 70-79
  3. 겁철수, 오장근(1992) 다도해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식물사회학적 연구(V)-소안도와 청산도를 중심으로-. 연안환경연구 9(1): 1-42
  4. 김혜주, 김보현, 김두하(2000) 폐탄광지의 식생복원.녹화공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3(4) : 43-51
  5. 나경태(2004) 자생수목 그루터기 이식공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38쪽
  6. 박병오(1995) 홍도천연보호구역의 식생복구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5쪽
  7. 박삭곤(2002) 난대 기후대 상록활엽수림 복원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3쪽
  8. 오구균, 김보현(1998)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I), 환경생태학회지 12(3): 279-289
  9. 오구균, 김용식(1996)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0(1): 87-102
  10. 오구균, 김용식(1997)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V)-사례지의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0(1): 334-335
  11. 오구균, 최송현(1993) 난온대 상록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한국생태학회지 16(4): 459-476
  12. 전성우, 성현찬(2003) 강원도 산불피해지역의 생태계 복원을 위한 식생회복속도비교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2) : 71-77
  13. 지용기(2001) 산림 벌채적지의 식생회복에 관한 모니터링. 호남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73쪽
  14.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pp. 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