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of Wooden Coffins from Burial Mounds of Korea and Japan

한일 고분출토 목관의 비교

  • Published : 2006.12.26

Abstract

Although in Korea there are only three examples of wooden coffins being found in burial mounds - from the Daho-ri, Songhyun-dong, and Munyung tombs, in Japan data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wooden coffins from the Gofun era is relatively abundant. The wooden coffins of the Gofun era of Japan can be classified into either the dugout log style or the combined boards style according to their method of manufacture. They can also be divided by shape, into such categories as the boat shape, the split bamboo shape, the box shape, and so on. The box shape category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he assembled type and the nailed type, according to how the boards are put together. Japanese Umbrella Pine (Sciadopitys verticillata) was favored as coffin-wood in all ages, but during the later Gofun era easily obtained woods such as the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or the Hinoki Falsecypress (Chamaecyparis obtusa) were also used. The coffins found at Daho-ri and Songhyun-dong are similar to the Japanese dugout log style in shape and manufacture, while the king's and queen's coffins excavated at Munyung Tomb are seen to have had direct influence on the appearance of nailed coffins Japan. The coffin in Songhyun-dong 7th mound was originally a dugout log boat. It was probably used for practical reasons such as the bugproof, anti-corrosion qualities of camphor wood, not because of ideological reasons such as in a boat burial (in which the boat takes the deceased to the after world). Because the Changnyong region is inland, where camphor trees do not grow, using an already existing boat may have been the only way to procure a camphor-wood coffin. From historical circumstances, it may be inferred that the camphor trees were imported into Korea from Japan, between which there was much cultural exchange.

우리나라 고분에서 목관이 출토된 예는 창원 다호리유적과 무녕왕릉, 창녕 송현동고분군 7호분뿐이지만, 일본의 고분시대에는 목관의 외형과 구조 등을 추정 복원할 수 있는 자료가 비교적 풍부한 편이다. 일본 고분시대의 목관은 제작방법에 따라 통나무 내부를 파내어 만든 고발식(刳拔式)과 판재를 결합한 조합식(組合式)으로 분류되며, 형태적으로는 주형, 할죽형(割竹形), 상형(箱形)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형목관은 관재의 결합방식에 의해 조립식(組立式)과 정부식(釘付式)으로 구분된다. 목관의 수종은 금송재가 전 시기에 걸쳐 차별적인 선택이 이루어졌지만, 고분시대 후기에는 삼나무나 편백나무 등 일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목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창원 다호리유적와 창녕 송현동고분군 7호분 출토 목관은 제작방법 및 형태에 있어 일본의 고발식목관과 유사하며, 무녕왕릉의 왕 왕비의 관은 일본의 정부식목관 출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창녕 송현동고분군 7호분 목관은 통나무배를 전용한 것으로 일본에서 제기되고 있는 주장(舟葬)과 같이 황천국(黃泉國)으로 가기 위한 수단으로 배를 목관으로 시용하였다는 사후 세계관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 녹나무가 가진 방충, 부식억제 효과를 최대한 이용한 실용적인 이유로 판단된다. 창녕지역은 녹나무의 식생지역이 아닌 내륙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관재로서 녹나무를 확보하기 어려웠을 것이고, 이러한 이유로 부득이하게 기존에 사용하였던 배를 전용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7호분 축조 딩시 시대적 상황을 볼 때, 녹나무는 당시 가야와 활발한 대외교섭이 있었던 왜에서 수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