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Pattern Analysis of the COD and Nutrient Concentration in Jumunjin Harbour, Gangneung

강릉 주문진항 COD 및 영양염류의 농도변화 양상 분석

  • Cho Hong-Yean (Coastal and Harbor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DI) ;
  • Kim Chang-Il (Coastal and Harbor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DI) ;
  • Lee Dal-Soo (Coastal and Harbor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DI) ;
  • Han Dong-J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Engineering Division, Gangwon Provincial University)
  • 조홍연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 김창일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 이달수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 한동준 (강원도립대학 공과계열 환경위생)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It was analysed that spatial and temporal change patterns of COD, TN and TP were measured monthly from 2002 to 2005 in Jumunjin Harbour. Cenerally, concentration of upper layer higher than lower layer, concentration difference of COD, TN and TP on upper lower layer at inner zone in Jumunjin Harbour higher than sea area front of breakwater. Seasonal change width of COD concentration different, but seasonal change pattern of COD, $NH_{4}-N$ and TN clearly showed.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of seawater exchange facilities and sewage treatment plants is analysed quantitatively using averaged spatial and temporal data set. Change of COD small at 2003, concentration reduced about $34{\sim}47%$ at all zones on 2004 and 2005. TN was influenced largely effect of seawater exchange facilities. Concentration reduction at zone 1, 2, 3 estimated about $60{\sim}70%,\;40{\sim}60%,\;40%$, respectively. As a consequence, concentration reduction of COD and TN that is,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influenced seawater exchange facilities appeared not only at inner zone, also sea area front of breakwater and entrance of Jumunjin Harbour.

주문진항에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월별로 관측한 COD, 총질소(TN), 총인(TP) 항목의 정점별, 계절별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상층의 오염도가 하층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상층과 하층의 COD 및 TN, TP 항목 농도차이는 주문진항 내부영역이 방파제 전면해역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COD 농도는 변화 폭이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계절별 변동양상이 뚜렷하고, 암모니아성질소 및 TN 항목도 계절별 변동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지점별, 월별 자료를 영역별, 연도별로 평균하여 해수교환시설 및 하수종말처리시설의 수질개선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COD 항목은 2003년도에는 미미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2004년, 2005년에는 모든 영역에서 $34{\sim}47%$ 정도 COD 농도저하가 계산되었다. 또한, TN 항목도 해수교환 시설에 의한 영향이 우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해수교환 시설이 TN 농도저하에 미친 영향은 영역 1, 영역 2, 영역 3 순서로 각각 $60{\sim}70%,\;40{\sim}60%,\;40%$내외 정도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해수교환시설이 COD 및 TN 농도저하, 즉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주문진항 내부영역으로 국한되지 않고, 주문진항 입구 및 방파제 전면해역으로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준건, 김은수, 조성록, 김경태, 박용철 (2003). 시화호 수질의 연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24(4), 459-468
  2. 이달수 (2004). 주문진항 해수교환시설 설치공사-사전 모니터링 최종보고서.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지방해양수산청
  3. 이달수 (2005a). 주문진항 해수교환시설 준공후 모니터링 조사용역 1차분 최종보고서.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지방해양수산청
  4. 이달수 (2005b). 주문진항 해수교환시설 준공후 모니터링 조사용역 2차분 최종보고서.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지방해양수산청
  5. 조홍연, 채장원 (1999). 진해. 마산만 일반수질항목 및 영양염류 장기 추이분석. Ocean Research, 21(1), 13-25
  6. 조홍연, 김창일, 이달수 (2004). 강릉 신리천의 수량. 수질분석 및 오염부하량 추정. 한국해안. 해양공학회지, 16(4), 196-205
  7. 환경부 고시 (2004).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환경부 고시 제 2004-188호
  8. Chapman, D. (1992). Water Quality Assesssment: A guide to the use of biota, sediments and water in environmental monitoring. Chaps. 3, 6-7, UNESCO/WHO/UNEP, Chapman & Hall, 239-369
  9. Kennish, M.J. (Editor) (2000). Estuary Restoration and Maintenance. The National Estuary Program, CRC Press
  10. Novotny, V.N. and Chesters, G. (1981). Handbook of Nonpoint Pollutions: Sources and Management.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