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uff's Method for Applying in Korea : II. Improvement of Huff's Method

Huff 강우시간분포방법의 개선방안 연구 : II. Huff 방법의 개선방안

  • Jang Su-Hyung (Research Center for Disaster Preven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Univ.) ;
  • Yoon Jae-Young (Dept. of Env. System Engr., Korea Univ.) ;
  • Yoon Yong-Nam (Water Resources Dept., Saman Corporation)
  • 장수형 (고려대학교 방재과학기술연구센터) ;
  • 윤재영 (고려대학교 과학기술대학 환경시스템공학과) ;
  • 윤용남 (㈜삼안 수자원부)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utilizes rainfall data in and out of a basin, which is greater than 25.4mm for point rainfall or 12.7mm for areal mean rainfall respectively. From our analysis, most frequent quartile for point and areal mean rainfall were found to be the same in general for various rainfall duration intervals. From an evaluation of design rainfall per each rainfall duration distributed in time by the MOCT(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version of Huff's method and this study, peak rainfall intensity by this study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one by MOCT, but there were no consistent increase or decrease of this difference with rainfall durations. Using the distributed design rainfall per each duration by MOCT and this study, corresponding flood inflow hydrographs were simulated and compared each other. Contrary to the case of peak rainfall intensity, difference in peak flow by both methods per each rainfall duration started to increase from about 12-hr duration. Especially, the difference in peak flow was significant when critical rainfall duration was considered, and this trend was similar for peak flows of other rainfall durations. Therefore,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is thought to be the effective procedure for the construction of dimensionless cumulative rainfall curve that is representative of a basin while considering tim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rainfall durations.

본 연구에서는 Huff(1967) 방법의 국내유역 적용을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유역내 외 관측소의 강우사상별로 점우량 25.4mm이상과 면적평균우량 12.7mm이상의 자료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강우지속기간 등급별 최빈분위의 대부분이 면적평균우량과 같은 분위가 선택되어 유역의 대표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설교통부(2000) Huff 방법과 본 연구의 방법으로 시간분포 시킨 결과 지속기간별 첨두강우강도의 크기는 본 연구의 방법으로 산정된 값이 컸으나, 지속기간에 따라 일관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전술한 두 방법에 의해 시간분포 시킨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입력으로 하여 유입수문곡선을 모의하였다. 첨두강우강도의 경우와는 달리 지속기간별 첨두홍수량의 값은 지속기간 12시간을 기준으로 지속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두 방법에 의한 값의 차이가 커졌다. 특히, 임계지속기간을 고려한 첨두홍수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지속기간별 첨두홍수량 차이에서도 유사한 특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지속기간에 관계없이 하나의 누가곡선을 이용해왔던 기존방법에서 탈피해 지속기간별로 누가곡선을 구분함으로써 지속기간별 강우의 시간분포 특성과 유역의 대표성을 갖는 무차원 누가곡선 작성방법으로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0). 1999년도 수자원 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 지역적 설계 강우의 시간적 분포
  2. 건설교통부 (2005). 하천설계기준.해설 pp.203-203
  3. 안재현, 김태웅, 유철상, 윤용남 (2000). '자료기간 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거동특성 분석.' 한국수자원 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5호, pp. 569-580
  4. 장수형, 윤재영, 윤용남 (2006). 'Huff 강우시간분포방법의 개선방안 연구 : I. Huff방법의 국내 적용실태와 문제점 검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9호 pp.767-777 https://doi.org/10.3741/JKWRA.2006.39.9.767
  5. 전병호, 오경두 (2005). '유역종합치수계획의 수리.수문 분석.' 한국수자원학희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4호, pp. 25-36
  6. Huff F. 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 No.4, pp. 1007-1019 https://doi.org/10.1029/WR003i004p01007
  7. Huff F. A. (1990)). Time distribution of heavy rainstorms in illinois. Illinois State Water Survey, Circular 173, p. 19

Cited by

  1. Development of a Rainfall Time Distribut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emporal Variability of Extreme Rainfall Events vol.15, pp.4, 2015,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4.23
  2. Improvement of Huff's Method Considering Severe Rainstorm Events vol.47, pp.11, 2014, https://doi.org/10.3741/JKWRA.2014.47.11.985
  3. Analysis of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 Using the Heavy Storm Distribution Method Reflecting Concentrated Duration Characteristics in Busan vol.18, pp.7, 201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7.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