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구조에서 본 현대시조 연구

Sijo Works seen in terms of Sentence Structure

  • 발행 : 2006.07.01

초록

고시조와 60년대 이전의 시조, 중국동포 시조. 2,000년대 발표된 현대시조를 문장구조의 측면에서 시적 의미를 어떻게 나타내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첫째, 고시조나 60년대 이전의 시조 나아가 중국동포 시조에서는 가급적 수식어를 배제한 간결한 문장으로서 의미 해석이 쉽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2,000년대 발표된 현대시조(이하 현대시조) 중에는 수식어가 복잡하게 읽혀 있는가 하면 수식어가 남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둘째. 고시조나 60년대 이전의 시조, 나아가 중국동포 시조에서는 의미파악이 수월하고 주술관계가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그러나 현대시조 중에는 주술관계가 불분명할뿐더러 암시성이 보이지 않는 비유어의 남용으로 인하여 의미해석이 어렵게 나타난 경우가 있었다. 셋째, 고시조나 60년대 이전의 시조, 중국동포 시조에서는 각 장의 의미가 독립되어 이것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시조작품을 이루었는데, 현대시조에서는 초, 중장이 종장의 수식어로 전락하여 장으로서의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넷째, 시조 형식과 거리가 있는 작품을 시조답게 장 구분을 하여 시조라고 우기는 경우가 있었다. 정형시는 그것이 문자로 표기되어 있다고 해도 음성에 의해 정형으로 확인되어야 하는 시다. 시조가 정형시인 바에는 정형시답게 읽혀져야 하고 이것을 들어서 이해가 수월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난해한 표현은 애초부터 시조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현대시조가 너무 안이한 표현, 주제의식의 단순성을 극복해야 한다면 의미해석을 방해하는 문장구조로서가 아니라 간결한 문장으로 참신한 비유, 선명한 이미지. 신선한 주제 등을 통해서 창작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how sijo works, including ancient sijo works, those published before the 1960s, those written by China-residing Koreans, and those published in the 2000s, convey the poetic meaning in terms of sentence structure. Firstly, ancient sijo works, those published before the 1960s, and those written by China-residing Koreans, have sentences. whose meaning the readers can easily grasp, with simple structures and little rhetoric words. But moderns works published In the 2000s (modern sijo works after) are mingled with too many rhetoric expressions, sometimes misused. Secondly, ancient sijo works, those published before the 1960s, and those written by China-residing Koreans, having a clarified subject-verb context. are easily understood by the readers. But, in modern sijo works, there are many cases with an unclarified subject-verb context and redundant rhetoric words, which will cause mis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work. Thirdly, in ancient sijo works. those published before the 1960s and those written by China-residing Koreans, each of the three statements (called in) in a stanza is separate from the others in context. But, in some modern sijo works, the first and second statements (called chojang and jungjang) fall into just rhetoric parts for the last statement (called jongjang), and each of them is not read as an independent statement. Fourthly, there are some cases whose forms are distant from those of siio works. but are written in three statements like traditional sijo works. Regular poems, though written in regular rhythm, should be also acoustically regular. Sijo works should be easily understood when recited. If not, they are basically far from sijo works. If modern sijo works should overcome their easy expressions and simplicity of themes, they should be composed through using not complicated sentence structures but brand-new metaphors, clear images, and fresh them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