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전통가구의 유형에 따른 특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y Type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Furniture

  • 김진옥 (경성대학교 공예디자인학과)
  • 발행 : 2006.08.01

초록

현대는 어느 시대보다도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의 조류에 맞추어 자국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노력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타문화와 우리의 문화를 비교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 지역의 문화는 독립적으로 자연발생된 것이 아니라 인접 국가나 문화와 관련을 가지면서 변화, 발전하는 것이므로, 문화적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국의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더불어, 타문화와의 상호비교연구를 통해서 각각의 문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명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한국 중국 일본은 예로부터 사회문화적으로 활발한 교류를 통해 서로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도 독자적인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아시아권 중에서 한국 문화의 차별화된 정체성이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4{\sim}19C$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가구의 유형을 분류하고, 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조형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우리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동양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에 대한 혼돈으로부터 보다 명확한 우리문화의 재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se days, contemporary people's interest in culture is higher than ever, and in response to such a current trend, each country is making efforts to search for its identity in various areas, and conducting research to compare its culture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The culture of a region does not develop independently or spontaneously, but it changes and evolves in connec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or cultures. Thus, in order to understand our own cultural characteristics properly, we need not only to make an in-depth study in our own culture but also to compare it with other cultures and underst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early. From old times, Korea, China and Japan have had great influences on one another through active socio cultural exchange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their own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Unfortunately, however, the distinguished identity of Korean culture has not been recognized properly.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classify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furniture from the $14th{\sim}19th$ century by type, and compare their characteristics by type as well as their general formativ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improve our objective understanding of our own culture. Furthermore, it will provide a ground for reinterpreting our culture to distinguish Korean culture from Oriental cul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