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THE GYUPYO (GNOMON) OF KING SEJONG'S REIGN TN CHOSON DYNASTY

조선의 세종시대 규표(圭表)의 원리와 구조

  • Lee Yong-Sam (Dept. of Astronomy & Spac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Jeong Jang-Hae (Dept. of Astronomy & Spac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un-Hwey (Dept. of Astronomy & Spac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Hyuk (Dept. Science of Sciences, Chung-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For a reconstruct draft of the Gyupyo (Gnomon) in King Sejong Era, we collected a lot of documents of the Chosen Dynasty. With the result we made a reduced model by 1/10 and drawing set for the Gnomon in Sejong Era. It is composed of the Gyu, Yongpyo, Hoengryang (a beam), Yeongbu and granitic prop. You can read the scale where the shadow of vertically-standing stick touches the horizontal Gyu. A Shadow-Define. (Yeongbu) was used to focus the shadow cast by the sun's center, measuring the (gnomon) shadow length precisely. A Yeongbu is made of a leaf of copper in the middle of which is pierced a pin-hole for the tiny optical image of the sun which tilted to face the incident sunlight, used the principle of the a pin-hole camera and Scheimplug principle.

조선초기 세종대에 제작하여 사용한 규표를 복원하기위해 '세종실록'을 비롯한 조선시대의 문헌자료를 수집하여 원리와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1/10로 축소 모형을 제작하고 설계도를 완성하였다. 규표의 구조는 규(圭), 용표(龍表), 횡량(橫梁), 또는 들보),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으로 세운 막대인 용표의 그림자가 수평으로 놓인 규면에 맺힐 때 눈금을 읽으면 된다. 이때 그림자 중심에 태양의 상을 맺히게 하는 영부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측정한다. 영부는 가운데 바늘구멍을 뚫은 작은 동판을 사용하여 바늘구멍 사진기와 샤임프러그 원리를 이용하여 태양의 영상을 맺히도록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일성, 정장해 1995, 축소 제작한 세종의 규표 연구보고서 (여주: 세종대왕 유적관리소)
  2. 남문현 1992, 과학기술 문화재 복원 기초조사 빛 설계 용역 보고서 (서울: 문화재 관리국), p.152
  3. 문두창 1999, 클래식 카메라 '다게레오 타입에서 디지털 까지' (서울: 도서출판 삶과 꿈), p.506
  4.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85a, 명종실록 2, 영인 50/ 국역 199 (서울: 코리아헤 럴드)
  5.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85b, 영종실록 3, 영인 71/ 국역 270 (서울: 코리아 헤럴드)
  6.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85c, 명종실록4, 영인 3/ 국역 11(서울 코리아 헤럴드)
  7.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86a, 명종실록 5, 영인 56/ 국역 211 (서울: 코리아 헤럴드)
  8.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86b, 명종실록 14, 영인 45/ 국역 160 (서울: 코리아 헤럴드)
  9.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1a, 세종장헌대왕실록 12, 영인 35/ 국역 139 (서울: 광명인쇄소)
  1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1b, 세종장헌대왕실록 12, 영인 37 / 국역 153 (서울: 광명인쇄소)
  1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1c, 세종장헌대왕실록 16, 영인 20/ 국역 81 (서울: 광명인쇄소)
  1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0, 중헌문헌비고 상위고1, 영인 48/ 국역 161 (서울: 천풍인쇄소)
  13. 유경로 1986a,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천문학편 (서울: 여강출판사),5, 165
  14. 유경로 1986b,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천문학편 (서울: 여강출판사), 8, 165
  15. 전상운 1986,세종시대의 과학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p.70
  16. Li, Q. 199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riental Astronomy from Guo Shoujing to Sejong, eds. I.-S. Nha & F. R. Stephenson (Seoul: Kyeong Shin Sa), pp.149-156
  17. Malpas, B. 2004, The Practical Observer, 6(3), 4
  18. Needham, J., Lu, G.-D., Combridge, J. H., & Major, J. S. 1986, The Hall of Heavenly Record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72

Cited by

  1. A Study for the Restoration of the Sundials in King Sejong Era vol.28, pp.2, 2011, https://doi.org/10.5140/JASS.2011.28.2.143
  2. INFERENCE ON THE ARRANGEMENT AND SCALE OF THE GANUIDAE IN THE JOSEON DYNASTY vol.26, pp.3, 2011, https://doi.org/10.5303/PKAS.2011.26.3.115
  3. THE ROLE OF A CROSS-BAR AND THE ENLARGEMENT OF A GNOMON IN JOSEON DYNASTY vol.28, pp.3, 2013, https://doi.org/10.5303/PKAS.2013.28.3.055
  4. Scale Marking Method on the Circumference of Circle Elements for Astronomical Instrume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vol.32, pp.1, 2015, https://doi.org/10.5140/JASS.2015.32.1.63
  5. A DEVELOPMENT HISTORY AND STRUCTURAL FEATURE OF SOGYUPYO IN THE JOSEON DYNASTY vol.26, pp.3, 2011, https://doi.org/10.5303/PKAS.2011.26.3.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