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바이오기술 이용 수소제조

  • Kim Mi-Sun (Bioenergy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Oh You-Kwan (Bioenergy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김미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에너지연구센터) ;
  • 오유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에너지연구센터)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is publication provides an overview of the state-of-the-art and perspective of biological $H_2$ production from water and/or organic substances. The biological $H_2$ production processes, being explored in fundamental and applied researches, are direct and indirect biophotolysis from water, photo-fermentation, dark anaerobic fermentation and in vitro $H_2$ production. The development of biological $H_2$ production technology, as an energy carrier, started at the late 1940's in the lab-scale. Now it has a high priority in the world, especially USA, Japan, EU and Korea.

미생물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은 광합성 작용에 의한 직간접 물분해, 광합성 발효, 혐기발효, 균체외 반응 등 여러 가지 기술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적용되는 미생물과 수소생산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동시에 본 기술들의 현재까지 개발된 사례를 선진국과 국내 현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생물학적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은 1940년대 후반부터 실험실적인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1990년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 세계적으로 연구가 다시 활성화되었으며, 이 글에서는 미국, 일본, 유럽연합 및 한국을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현황을 소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M.-S.; Baek, J.-S. Kor. J. Biotechnol. Bioeng., 2005, 20(6), 393
  2. Kim, M.-S.; Baek, J.-S.; Yun, Y.-S.; Sim, S.J.; Park, S.; Kim, S.-C. Int. J. Hydrogen Energy, 2006, 31, 812 https://doi.org/10.1016/j.ijhydene.2005.06.009
  3. Kim, M.-S.; Baek, J.-S.; Lee, J.K. Int. J. Hydrogen Energy, 2006, 31, 121 https://doi.org/10.1016/j.ijhydene.2004.10.023
  4. Kim, E.-J.; Kim, J.-S.; Kim, M.-S.; Lee, J.K. Int. J. Hydrogen Energy, 2006, 31, 531 https://doi.org/10.1016/j.ijhydene.2005.04.053
  5. Markov, S.A.; Bazin, M.J.; Hall, D.O. Advances in Biochem. Eng. Biotech., 1995, 52, 60
  6. Hallenbeck, P.C.; Benemann, J.R. Int. J. HydrogenEnergy, 2002, 27, 1185 https://doi.org/10.1016/S0360-3199(02)00131-3
  7. Qian, D.J.; Nakamura, C.; Zorin, N.; Miyake, J. Colloides and Surfaces, 2002, 198-200, 663 https://doi.org/10.1016/S0927-7757(01)009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