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건설교통부(2002) 자연친화적 하천관리지침
- 건설교통부(2005) 친환경 하천정비기본계획 수립지침
-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6)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기본계획
- 권오상(2006) 농업, 농촌의 다원적 기능, 이론 발전 및 가치 예측. 한국농업경제학회 한국농업정책학회 2006년 하계 공동 학술대회 발표논문집(I). pp. 37-67
- 김덕현 (1986) 전통촌락의 동수에 관한 연구-安東내앞마을의 開湖松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13: 25-33
- 김용곤(2004) 21세기 농촌관광의 전망과 대응전략. 농촌자원과 생활지 97: 27-31
- 김창길(2006) 농업, 농촌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사회적 수요. 한국농업경제학회, 한국농업정책학회 2006년 하계 공동학술 대회 발표논문집 (I). pp. 68-94
- 김태곤(2002) 농촌지역 특성과 지원정책 방향 농업 . 농촌의 공익적기능 가치평가와 활용 심포지엄 자료집 pp. 119-140
- 김학범(2005) 마을숲과 문화. 전통마을숲의 이해와 복원운동의 방향 심포지엄 자료집. pp. 5-22
- 김학범(1991) 한국의 마을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농림부(2006) 농촌경관의 보전, 형성, 관리를 위한 농촌경관 종합대책 수립방안(안)
- 농림부 (2004a) 경관보전직불제 시범사업 시행방안 연구. 농업 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보고서
- 농림부(2004b) 농업, 농촌종합대책
- 농어업, 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2002) 농어업, 농어촌의 새로운 활로보고서
- 농어업, 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2005) 농어촌 복합생활공간 조성방안
- 대한주택공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조경학회(2005) 경관 법제정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 목정훈(2005) 미국의 도시경관 관리방향. 경관법제정에 따른 도시계획 법체계의 개선방향 모색 세미나 자료집. pp. 31-47
- 박재철(1999) 농촌정주생활권내의 미을비보숲과 미을쉼터숲의 비교 고찰-진안군 지역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7(3) 32-38
- 변병설(2001) 친환경적 농촌관리전략: 농촌경관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새국토연구협의회 공동개최 세미나농촌 계획,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집. pp. 129-149
- 성주인(2005) 농촌경관 관리실태와 정책방안. 농촌경관 전문가 Workshop 자료집. pp. 105-159
- 송미령, 박경철(2005) 농촌경관 보전을 위한 정책 동향과 시사점. 농촌경제 28(3): 121-137
- 오민근(2005) 일본의 경관법 제정 및 전개, 그리고 우리의 할 일 경관법 관련 워크삽 자료집 pp. 7-67
- 우효섭(1996) 지역사회에서 소하천의 역할과 자연형 하천 정비의 의의. 세계 물의 날 기념 원천천 살리기 심포지엄 자료집 pp. 17-39
- 유제헌(1979) 농촌경관의 형태적 연구 여주.이천지방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6: 96-115
- 윤영활,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1998) 강원도 동해안지역 정주지 구성요소로서 풍숲(風數)의 경관과 그 효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1): 59-81
- 윤진옥(2005) 어메니티 증진을 위한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 방안 연구. 농촌경관 전문가 Workshop 자료집. pp. 161-209
- 이상훈(2005) 마을숲의 사회학적 의미 진안지역을 중심으로-. 전통마을숲의 이해와 복원운동의 방향 심포지엄. pp. 23-51
- 이정형(2005) 일본에서의 경관시책과 경관법 제정 및 우리 나라에의 시사점. 경관법제정에 따른 도시계획 법체계의 개선 방향 모색 세미나 자료집. pp. 17-29
- 이창석, 유영한(2001) 한국의 문화경관, 그 실체,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가치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24(5): 323-332
- 이희정(2005) 국토계획법과 경관법의 상호관계와 역활 경관법 관련 워크삽 자료집. pp. 71-95
- 장동수, 이규목(1997) 경주, 포항시 전통도시숲(읍수, 임수)의 보존과 관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5(1) : 1-15
- 정동양(1995) 독일, 스위스의 근자연형 하천공법. 한국건설 기술연구왼 하천환경 심포지엄 자료집. pp. 56-92
- 최일홍(2005) 경관법 추진 배경과 과제, 경관법 제정에 따른 도시계획 법체계의 개선방향 모색 세미나 자료집. pp. 1-15
- 최재웅, 김동엽(2005a)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 마을숲의 경관 생태학척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4(2): 31-55
- 최재웅, 김동엽 (2005b) 농촌경관 보전, 활용을 위한 당산숲, 마을숲의 관리실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05년 추계 학술논문 발표집. pp. 106-111
- 최재웅(2004a) 농촌관광 인프라-당산숲. 농촌자원과 생활지 98: 63-67
- 최재웅(2004b) 마을숲 문화가 있는 아름다운 우리 농촌마을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편, '한국의 전통생태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pp. 378-407
- 최재웅, 김동엽(2003) 농촌 문화경관으로서 강릉시 구정리 마을숲의 경관 특성. 국토계획 38(4): 171-181
- 최재웅, 김동엽(2000) 마을숲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3): 51-64
- 최찬호(2000) WTO 체제하 농업의 다원적기능 유지 전략. 농업의 다원적기능 심포지엄 자료집. pp. 1-28
-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05) 국토환경관리종합계획(시안) 공청회 자료집
-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1999) 소하천정비 종합계획
- 환경부 수질보전국(2003) 2004 자연형 하천정화사업 추진지침
- Choi. J. U. and D. Y. Kim(2004) The multifunctionality of Dangsan forests in rural communities in Korea. The 41st IFLA World Congress Proceeding. Taipei: 2004 IFLA Taiwan Organizing Committee. pp. 434-445
- Takeuchi. K. R. D. Brown. J. Washitani. A Tsunekawa. and M. Yokohari(2003) Satoyama: the Traditional Rural Landscape of Japan. Berlin. Heidelberg. New York: Springer
- Land & Water Australia (2003) National Riparian Lands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 OECD Joint Working Party on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2003) First Questionnaire for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 OECD(2001)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Volume 3 Methods and Results
- OECD(l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 오현석, 김정섭 (역), 어메니티와 지역개발. 서울: 새물결, 2002
- Forman. R. T. T.(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홍선기, 김동엽(역), 토지모자이크 지역 및 경관생태학.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0
- USDA National Agroforestry Center (2002) Agroforestry: Working Trees for Communities
- http://www.maf.go.kr/index.jsp
- http://www.maff.go.jp/hakusyo/nou/h16/html/index.htm
- http://www.maff.go.jp/www/press/cont2/20040819press_5b.pdf
- http://www.mlit.go.jp/crd/city/plan/townscape/keik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