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lue Chain of Cultural Industry in Gyeongbuk

경북 문화산업의 가치사슬 특성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The value chain is analytically useful for the cultural industry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manufacture and service industry, as the focus of value chain analysis moves from manufacturing only to the other stages of activity involved in supplying goods and services to consumers. The aim of paper is to analyse the value chain of the cultural industry in Gyeongbuk, find ou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t, and suggest the ways to enhance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cultural industry in Gyeongbuk. First, the firms in advertisement & marketing, and circulation & distribution have low percent in cultural industry and need the low level of human resource, but produce high value-added in value chain; so, we should facilitate the make-up of the firms in advertisement & marketing, and circulation & distribution. Second, we should strengthen inter-firm networks to facilitate the ex-change of the equipment, human resource, information and technology between them. Third, we should construct the system to development human resource with two levels and spread the open atmosphere of firms.

가치사슬 분석은 기존의 정량적 산업분석과는 다르게 분석의 초점이 단순 제조에서부터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자에 공급하는 활동에까지 맞추어지기 때문에, 오늘날과 같이 경제의 서비스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 하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계가 불분명한 문화산업을 분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분석틀이다. 본 연구는 경북 문화산업의 가치사슬을 분석하여 경북 문화산업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가치사슬내 활동을 통한 혁신창출메카니즘의 이해를 통해 문화산업역랑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부가가치단계이자 상대적으로 저학력 인력을 필요로 하는 유통 배급 및 홍보 마케팅 업체의 창업 및 유치를 도모하고 전문화를 강화시킨다. 둘째, 기업간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장비의 공동 구입 및 이용 지원, 인력 및 기술 정보 교류를 활성화시킨다. 셋째, 이원화된 인력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방된 기업문화를 육성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