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부재의 등급구분"> 비파괴 시험에 의한 국산 침엽수 $2{\times}6"$ 구조부재의 등급구분

Grading of Domestic Softwood $2{\times}6$ Structural Lumber by Non-destructive Test

  • 심국보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재료성능과) ;
  • 박정환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재료성능과) ;
  • 김광모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재료성능과)
  • Shim, Kug-Bo (Div. of Wood Engineering, Dept. of Forest Products a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Jung-Hwan (Div. of Wood Engineering, Dept. of Forest Products a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Kwang-Mo (Div. of Wood Engineering, Dept. of Forest Products a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발행 : 2006.12.30

초록

국산 침엽수재의 구조재 활용에 필요한 등급구분을 위해 소나무, 잣나무와 낙엽송 $2{\times}6"$ 부재에 대해 초음파를 이용한 비파괴 방법을 적용하였다. 정적 탄성계수와 초음파 시험에 의한 동적 탄성계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k-factor는 소나무의 경우 1.0602, 잣나무 1.0013, 낙엽송 1.2320로 나타났다. k-factor를 적용할 경우 비파괴방법에 의한 동적 탄성계수 측정에 의해 침엽수 구조부재 등급구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계응력 등급구분에서 소나무는 E9 이상의 등급이 전체의 76%인 반면 잣나무는 E7 이상의 등급이 전체의 85%, 낙엽송은 E11 이상의 등급이 68% 분포하였다. 정적 탄성계수와 휨파괴계수(MOR)의 상관관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나 이를 동적 탄성계수로부터 추정한 k-factor와 연계할 경우 초음파 비파괴 등급구분 방법에 의해 국산 침엽수재의 휨강도 성능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using domestic structural softwood lumber efficiently and ensuring structural safety of timber structures. The ratios (k-factor) between static and dynamic MOE measured by ultrasonic device for $2{\times}6$ domestic softwood structural lumber are 1.0602 for Korean red pine, 1.0013 for Korean white pine and 1.2320 for Japanese larch. In machine grade using nondestructive method, 76% of Korean red pine was classified into higher than E9 grade, 85% of Korean white pine was sorted into higher than E7 grade and 68% of Japanese larch was classified into higher than E11 grade. Correlation between MOE and MOR by static bending with k-factor from nondestructive method provide a possibility to predict bending strength and allowable stress of domestic softwood structural lumb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