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국제비교연구 활용 가능성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Research Design f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 발행 : 2006.09.30

초록

2006년에 제1차 본조사에 들어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는 HRS(미국), SHARE(유럽), ELSA(영국) 등과 연구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데이터베이스 사업과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고령화연구패널조사'는 국가간 비교연구가 가능한 자료를 생산하기 위해서 다음 세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첫째, 가족, 건강, 고용, 소득, 자산, 주관적 기대감 등 비교대상으로 삼은 조사들의 핵심적인 주제와 주요 조사영역을 일치시켰다. 둘째, 주요영역의 세부 항목은 우리나라의 제도적,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도록 설계하였다. 우리나라의 공적연금과 의료보장제도의 특성 등 제도적 특성을 반영하여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고용상의 관행이나 금융상품의 범위도 고려하였다. 또한 문화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가족간의 경제적 지원양태의 특징이나 재산관리상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설문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척도의 선정에 있어서도 우리나라 고령자들에게 정확하게 의미가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국가간 비교연구도 가능한 방식의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launched in 2006, has developed a research network with 'Health and Retirement Study(HRS, US),' Studies on Health and Retirement in Europe(SHARE, EU),' and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ELSA, UK)'and tried to construct a mega data library. The KLoSA team has designed their research with focusing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in order to use KLoSA f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First, KLoSA shares the key research areas such as family structure, health, employment, income, asset, subjective expectations with the comparable studies. Second, KLoSA team has developed the instrument to reflect the Korean culture and institutions. They considered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public pension and health care system and in employment practices. They also counted the cultural conventions in family life such as financial management and care exchange, Finally, KLoSA tries to captur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lderly by making the measurement scales more understandab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