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Set of an Experimental Equipment of Westerly Wave for High School

고등학교에 적합한 편서풍 파동 실험장치 개발

  • Lee, Soon-Hwan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Gwang-Soon (Jang Young Sil Science High School) ;
  • Kim, Hee-So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순환 (부산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 박광순 (장영실과학고등학교) ;
  • 김희수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6.04.28

Abstract

Due to a lack of reproducibility and visibility of the conventional equipment for westerly wave simulation, it is difficult to have indoor experiments at high school that show the stream of Hadley cell. A modified improvement of the old one improves the problem. The side wall and bottom of the new equipment is made by copper and acrylic resin, respectively, in order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temperature inside and outside of the water tank. The equipment also has a high quality digital record for generating exact analysis of the results. And we also carried out several experiments that relat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aspection of westerly wave. Temperature Detected Sheet (TDS) in flow visualization unit provides not only visual information of liquid flow, but also clea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wind flow structure. And the liquid stream simulated in indoor experiment using proposed equipment is commensurate with westerly wave in real atmosphere. The efficiency of educational properties of the proposed equipment is verified indirectly by Likert Scales survey of high school teachers.

현재 고등학교 지구과학실험 중 가시화가 어렵고, 재현성이 떨어지는 편서풍 파동장치를 개선한 유체실험장치를 개발하였다. 실험장치는 기존 실험장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수조내 온도 차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개발되었으며, 디지털 가시화 장치를 설치하여 기록과 분석을 용이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 장치를 통하여 편서풍파동의 이론적인 상사성과 재현성을 살펴보았다. 본 장치는 감온 액정 시트지를 이용해 유체 흐름의 가시화뿐만 아니라 유체의 온도분포와 상층기류와 하층기압골의 위치관계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험장치에서 재현된 편서풍 파동은 실제 대기의 편서풍 파동과 잘 상사됨을 확인하였으며,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리커드 척도 평가에 의해 편서풍 파동장치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가상현실과 과학교육, 46 p
  2. 김희수, 정지영, 2004, 중학교 과학 '달의 운동' 단원의 상호작용형 WBI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663-673
  3. 소선섭, 이규현, 윤성석, 김명환, 손정호, 전창근, 진수광, 1995, 회전원통 수조실험의 파동유형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1(2), 159-168
  4. 이순환, 원효성, 2005, 한반도 중규모 대류복합체의 발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7), 698-705
  5. 정정인, 심기창, 김희수, 김종헌, 2004, 계절변화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이 중학생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45-557
  6. Hide, R., 1953, Some experiments on thermal convection in a rotating liquid.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79, 161 https://doi.org/10.1002/qj.49707933916
  7. Hide, R., 1958, An experiment study of thermal convection in a rotating fluid. Phil. Trans. Roy. Soc. London, A250, 441-478
  8. Holton, J. R., 2002, An introduction to dynamic meteorology. 4th Ed., Academic Press, New York, 511 p
  9. Shepardson, D. P., 1997, The nature of student thinking in life science laboratori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7(1), 37-44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7.tb17338.x
  10. Wallace, J. M. and Hobbs, P. V., 1976, Atmospheric sciences, Academic Press, New York, 467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