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the Core Climatic Region Established by the Entropy of Climate Elements - Focused on the Middle Part Region -

기후요소의 엔트로피에 의한 핵심 기후지역의 구분 -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

  • Park, Hyun-Wook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ung, Sung-Suk (Devision of Mathmatics and Statistical Informatic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Keon-Yeong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 박현욱 (전남대학교 지리학과) ;
  • 정성석 (전북대학교 수학통계정보과학부) ;
  • 박근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대기과학과)
  • Published : 2006.04.28

Abstract

Geographic factors and mathmatical lo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great influences on the variation patterns and appearances over a period of ten days of summer precipitation. In order to clarify the influence of several climate factors on precise climate classification in the middle part region of the Korea, weather entropy and the information ratio we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theory and of the data of 25 site observation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the daily precipitation phenomenon over a period of ten days of summer during the recent thirteen years (1991-2003) at the 25 stations in the middle part region of the Korea. It is divided into four classes of no rain, $0.1{\sim}10.0mm/day,\;10.1{\sim}30.0mm/day$, 30.1mm over/day. Their temporal and spatial change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 of calculated weather entropy are 1.870 bits at Chuncheon in the latter ten days of July and 0.960 bits at Ganghwa during mid September, respectively. And weather entropy in each observation sites tends to be larger in the beginning of August and smaller towards the end of September. The largest and smallest values of weather representative ness based on information ratio were observed at Chungju in the beginning of June and at Deagwallyeong towards the end of July. However, the largest values of weather representativeness came out during the middle or later part of September when 15 sites were adopted as the center of weather forecasting. The representative core region of weather forecasting and climate classification in the middle part region of the Korea are inside of the triangle region of the Buyeo, Incheon, and Gangneung.

본 연구는 중부지방에서 각종 기후인자의 영향을 명확히 반영하여 중부지방의 날씨 및 기후 특성을 잘 나타내는, 탁월일기 및 강수현상의 하계 순별 출현 다소(강수 없음, 0.1-10.0mm/일, 10.1-30.0mm/일, 30.1mm 이상/일)와 그 변화에 대해, 정보이론을 이용하여 일기엔트로피와 정보비를 추출하고 응용하여, 그 공간 스케일의 시간적 변동을 살핀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하계 순의 중부 지방의 25개 관측 지점별 일기 및 기후 대표성의 특성을 규명하고 공간적 질서를 밝혀 일기예보 및 핵심 기후지역(기후대표성) 설정을 시도한 것이다. 그 결과 최대 일기엔트로피(제1위: 춘천, 1.870bits, 7월 하순)는 대부분 8월 초순에 나타나고, 최소 일기엔트로피(제1위: 강화, 0.960 bits, 9월 중순)는 6월 초순과 9월 하순에 나타난다.15개 기준지점(속초, 철원, 대관령, 춘천, 강릉, 서울, 인천, 원주, 수원, 충주, 서산, 청주, 대전, 보령 및 부여)의 정보비 분포와 일기대표성의 특성은 주로 9월 중순(제1위 충주 기준 시 청주 0.75, 6월 초순)에 가장 크며, 7월 하순(제1위 보령 기준 시 대관령 0.06, 7월 하순)에 가장 작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중부지방의 일기예보 및 기후대표성(기후지역)을 나타내는 핵심지역은 부여-인천-강릉지역을 잇는 삼각형내의 중부 내륙지방이 해당됨을 밝혔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일곤, 1989, 한국 추계 강수의 기후학적 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5 p
  2. 김일곤, 박현욱, 1996, 남부지방의 일기예보구역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1(3), 469-488
  3. 남궁 건, 1979, 한글 낱말의 發生頻度 分布와 Entropy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p
  4. 남영우, 1992, 계량지리학. 법문사, 서울, 592 p
  5. 박병익, 2003, 장마전선의 위치로 본 한반도 강수분포의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2), 192-202
  6. 박순웅, 정창희, 1984, 冬李寒波 來襲時 黃海上에서의 寒氣의 變質에 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20(2), 40-50
  7. 박현욱, 1995, 남한의 일기엔트로피의 연변화 유형과 지역구분. 대한지리학회지, 30(3), 207-229
  8. 박현욱, 1996, 정보이론에 의한 한국의 일기 대표성 설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 49-73
  9. 박현욱, 문병채, 1998, GIS를 이용한 한국의 기후지역 구분. 대한지리학회지, 33(1), 17-40
  10. 박현욱, 2001, 정보이론에 의한 하계의 일기예보 구역의 설정. 지리학연구(한국지리교육학회지), 35(2), 151-164
  11. 박현욱, 류찬수, 2003, 호남 지방의 하계 일기대표성 특성에 관한 연구 - 일기 엔트로피 및 정보비를 중심으로 -. The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5(3), 479-498
  12. 박현욱, 2005a, 하계강수량과 그 순변화형에 의한 호남지방의 지역 구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1), 101-113
  13. 박현욱, 2005b, 정보이론에 의한 영남지방의 일기예보 및 기후지역 설정. The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7(3), 1077-1102
  14. 박현욱, 류찬수, 2005, 한국의 하계 강수량의 순변화 유형과 강수지역, 한국지구과학회지, 26(5), 417-428
  15. 우정수, 강석복, 1990, 확률의 입문, 자유아카데미, 서울, 615 p
  16. 최병욱(역), 基礎 情報理論. 형설출판사, 서울, 257 p
  17. 剛本雅典, 1959, 情報量 ノ-ト. 氣象と 統計, 9, 40-43
  18. 古田 章, 1970, 小氣候區の 區分について. 硏究時報, 22, 32-35
  19. 菊地原 英和, 1981, 日本の氣候區分とその技法. 氣象硏究ノ-ト, 143, 287-313
  20. 吉持 昭, 1963, 廣島における旬別の天氣について(第1報). 硏究時報, 15, 500-503
  21. 渡邊次雄, 1955, 天氣のエントロピ-(豫報技術に 對する 情報理論の 應用第1報). 氣象と設計, 6, 58-60
  22. 星野常雄, 1970, 天氣のエントロピ-に よる 天氣の 局地性 評價の 試み(5) - 千葉懸內の 地區象報官署の 天氣の 代表性の 季節變化について -. 硏究時報, 22, 282-291
  23. 須田芳彦, 1990, 降水量の度數分布にみられる時間特性とその地域的 ${\cdot}$ 局地的特徵. 地理學評論, 63(A-5), 315-334
  24. 正野重方, 1958, 天氣豫報の 適中率. 天氣, 5, 173-178
  25. Christensen R. A. and Eilbert, R. F., 1985, Seasonal precipitation forecasting with a 6-7 month lead time in the Pacific Northwest using an information theoretic model. Monthly Weather Review, 113, 502-518 https://doi.org/10.1175/1520-0493(1985)113<0502:SPFWAM>2.0.CO;2
  26. Kato H., 1983, Environmental regionality in Hokkaido as revealed by a Multivariate analysis of thermal climatic elements. Environmental Science, Hokkaido, 6(2), 319-349
  27. Lai-Yung Leung and Gerald R. North, 1990, Information theory and climate prediction. Journal of Climate, 3, 5-14 https://doi.org/10.1175/1520-0442(1990)003<0005:ITACP>2.0.CO;2
  28. Pan, G.C., 1995, Related information Measures for the associations of Earth-Science variables. Mathematical Geology, Vol. 27, No. 5, 609-632 https://doi.org/10.1007/BF02093903
  29. Pan, G.C., and Xia, L., 1988, The entropy methods for the associations of variables and their applications. Mathematical Statistics and Applied Probability, 3(1), 7-20
  30. Peschel G. and Mokosch M., 1991, Interrelations between Geostatistics and Information theory and their practical use. Mathematical Geology, 23(1), 3-7 https://doi.org/10.1007/BF02065960
  31. Rizzo B. and Wiken E., 1992, Assessing the sensitivity of Canada's ecosystems to climatic change. Climate Change, 21, 37-55 https://doi.org/10.1007/BF00143252
  32. Shannon, C. E., 1948,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Journal of Bell system Technology. 27, 379-432, 623-656 https://doi.org/10.1002/j.1538-7305.1948.tb01338.x
  33. Singh, V. P., 1987, On derivation of the extreme value (EV) type III distribution for low flows using entropy. Hydrological Science, 32, 521-533 https://doi.org/10.1080/02626668709491209
  34. Sonuga J. O., 1972, Principle of maximum entropy in hydrologic frequency analysis. Hydrology, 17, 177-191 https://doi.org/10.1016/0022-1694(72)90003-0
  35. Suzuki E., 1980, A summarized review of theoretical distributions fitted to climatic factors and Markov chain models of weather sequences, with some examples, Ikeda, S., ed.: Statistical climatology (Developments in atmospheric science, 13), Elsevier, Amsterdam,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