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Indoor, Outdoor and Playground of Schools in the Gochang-Gun, Chonbuk Province of South Korea

전북 고창지역 학교 실내외 환경의 중금속 오염 특성

  • Kim, Yong-Hwan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ung, Duk-Ho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Kyu-Seong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용환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Dus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Gochang-Gun, Korea. Heavy metal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for the dry-deposited dusts from indoor and outdoor of classroom and playground of each sampling site. Concentrations of Cd, Cu, Pb and Zn in indoor's dusts were highly concentrated. Also concentrations of Cu, Ni, Pb and Zn in outdoor's dusts were highly concentrated. Concentrations of Cd, Cu and Zn in the dusts were much higher than the world average contents in soil and environmental orientation value. These level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dust samples at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Jeonju-city, Korea. Compared with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soils and dusts in Korea, the environment of indoor and outdoor of classroom is highly concentrated except for Cu, Zn. The concentrations of playground is less than that of residential dust and main road dust and playground in Jeonju-city. Playground dusts in 1 school exhibited the enhanced heavy metal pollution with a pollution index (Kloke, 1979) greater than 1.0, but indoor and outdoor dusts in 7 schools exhibited the enhanced heavy metal pollution with a pollution index (by Kloke) yester than 1.0.

먼지시료는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10개 중 고등학교에서 채취하였다. 교실 내의 칠판 위, 전등 반사판 위, 게시판 위, 물품장 위에 쌓인 분진 등의 먼지와 창틀 밖 난간 등에 쌓인 먼지시료, 그리고 운동장에서 총 45개의 시료를 채취했다. 채취한 먼지 시료를 Thompson and Wood(1982)의 방법으로 화학처리 한 후 Cd, Co, Cr, Cu, Ni, Pb, Zn, Mn 등 8개의 원소를 정량 분석했다. 교실 내 먼지 시료 중에 Cd, Cu, Pb, Zn 등의 중금속 함량이 높았다. 또한 교실 외 먼지 시료 중에는 Cu, Ni, Pb, Zn의 함량이 높았다. 먼지 시료 중 Cd(4.6 ppm), Cu(124 ppm), 그리고 Zn(350 ppm) 농도는 세계 평균 지표 토양과 환경오염기준 보다 매우 높다. 이러한 경우는 전주시 중 고등학교의 먼지 시료 분석과 유사하다. 국내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교실 내 외 환경은 Cu, Zn을 제외하고 농축이 심하다. 운동장 환경은 전주시의 교통량이 많은 주거 도로와 주 도로변, 운동장에 있는 먼지 중의 중금속 함량 보다 낮았다. 운동장 먼지 시료에서 오염지수가 1.0 이상인 중금속 오염은 1개 학교에서 나타났지만 교실 내 외 먼지 시료에서 오염지수가 1.0 이상인 중금속 오염은 7개 학교에서 나타났다. 산업화가 덜 된 농촌 지역의 학교라 할지라도 교실 내에는 중금속의 오염양상이 도시 지역의 학교와 같았다. 이는 교통량의 상대적 차이나 산업화의 정도와 관계없이 실내에서 중금속 오염이 동일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 2000, 선진국과 폐기물${\cdot}$토양기준 비교, 84 p
  2. 김상현, 전효택, 1993, 삼보 연 ${\cdot}$ 아연 ${\cdot}$ 중정석 광산주변 하상 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연구, 대한광산지질, 26(2), 217-226
  3. 김주용, 전효택, 1993, 서울 지역 토양과 분진 중의 Cu, Pb, Zn, Cd의 지구화학적 분산, 한국자원공학회지, 30, 163-176
  4. 김홍제, 김연천, 이장자, 성시경, 최한영, 이승주, 박상현, 1986, 서울시 일원의 토양 중금속 오염도 조사,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소보, 22, 168-173
  5. 나춘기, 전서령, 1995, 모악 금 ${\cdot}$ 은 광산에 방치된 폐석이 주변 수계 및 생태계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 자원환경지질, 28(3), 221-229
  6. 변희옥, 김규한, 전효택, 1996, 서울시 영등포구와 구로구에 소재한 중학교 운동장의 토양과 옥외 분진의 중금속 오염, 한국지구과학회지, 17(2), 192-204
  7. 배윤진, 김규한, 전효택, 안주성, 1998, 실내 ${\cdot}$ 외 환경의 분진 중 중금속 농도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9(5), 449-460
  8. 오대균, 김정염, 전효택, 1995, 동해탄광 주변 산성 광산폐수와 하상퇴적물의 지구화학, 자원환경지질, 28(3), 213-220
  9. 이군자, 박청길, 유선재, 1985, 도로변 인접 토양 중의 납, 구리, 아연의 함량분포, 대한환경공학회지, 7(1), 26-37
  10. 이진국, 최욱진, 이재영, 1989, 달성 폐광산 하류천의 중금속 오염에 관한 지구화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논문집, 3, 71-77
  11. 이재영, 김종근, 이인호, 이진국, 1993, 경북지역 폐금속 광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양, 광산지질, 26(4), 465-472
  12. 이찬수, 정 권, 김진권, 1985, 서울시내 고정 배출원의 중금속 배출량 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13. 이평구, 윤성택, 최상훈, 최병영, 1999, 서울시 도로변의 빗물받이에서 채취한 하수 슬러지의 중금속 오염평가. 자원환경지질, 32(6), 633-644
  14. 이평구, 김성환, 소칠섭, 2001, 서울시 우수관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평가 및 연속추출방법을 이용한 중금속 유동도 평가. 지질학회지, 37(4), 629-652
  15. 전효택, 최완주, 1992, 도시 및 산업 환경 분진 및 토양 중의 중금속 원소들의 분산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25, 317-336
  16. 전효택, 안주성, 1996, 수도권 위성도시의 토양과 분진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 29, 87-100
  17. 조규성, 정덕호, 1998, 전주일광산 주변의 환경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7(5), 623-631
  18. 조규성, 2000, 전주시내 중고등학교 실내 ${\cdot}$ 외 환경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9(6), 495-503
  19. 조규성, 2003, 전주시 도로변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4(8), 711-720
  20. Alina Kabata-Pendias and Henryk Pendias, 1984, Trace elements in soils and plants, CRC Press, 315
  21. Chon, H.T., K.W. Kim and J.Y. Kim, 1995, Metal contamination of soils and dusts in Seoul metropolitan city, Korea,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17, 139-146 https://doi.org/10.1007/BF00126082
  22. Chon, H.T., J.S. Ahn and M.C. Jung, 1998, Seasonal variations and chemical forms of heavy metals in soils and dusts from the satellite cities of Seoul, Korea,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20, 77-86 https://doi.org/10.1023/A:1006593708464
  23. Culbard, E. B., I. Thornton, J. Watt, S. Wheatly, S. Moorcroft and M. Thompson, 1988, Metal contamination in british urban dusts and soil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17, 226-234 https://doi.org/10.2134/jeq1988.00472425001700020011x
  24. Davidson, C.M., R.P. Thomas, S.E. Mcvey, R. Perala, D. Littlejohn and A.M. Ure, 1994, Evaluation of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heavy metal in sediments, Analytica Chimica Acta, 291, 277-286 https://doi.org/10.1016/0003-2670(94)80023-5
  25. Fakayode, S.O. and Olu-Owolabi, B.I., 2003,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roadside topsoil in Osogbo, Nigeria: its relationship to traffic density and proximity to high-ways. Environmental Geology, 44, 150-157
  26. Fergusson, J.E., E.A. Forbes, R.J. Schroeder and D.E. Ryan, 1986, The Elemental Composition and Sources of Home Dust and Street Dust. Science Total Environment, 50, 217-221 https://doi.org/10.1016/0048-9697(86)90363-3
  27. Kim, DS, An, KG and Kim, KH, 2003,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soils of various land use types based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Part A, 38, 839-853 https://doi.org/10.1081/ESE-120018595
  28. Li, X., Poon, C. and Liu, P.S., 2001,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urban soils and street dusts in Hong Kong. Applied Geochemistry, 16, 1361-1368 https://doi.org/10.1016/S0883-2927(01)00045-2
  29. Pendias, A. K., 1984, Trace elements in soils and plants, CRC Press, 315
  30. Tessier, A., Campell, P.G.C. and Bisson, 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yion of Particulate Trace Matals. Analytical Chemistry, 51, 844-851 https://doi.org/10.1021/ac50043a017
  31. Thompson, M. and Wood, S. 1982, Atomic absorption methods in applied geochemistry; in Cantle, E.J. (ed.),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Elsevier, Amsterdam, 261-284
  32. Thornton, I., 1990, Soil contamination in urban areas, Plo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82, 121-140 https://doi.org/10.1016/S0031-0182(12)80026-5
  33. Thornton, I., Culbard, E., Moorcrofts, S., Watt, J., Wheatly and Thompson, M., 1985, Metals in urban dusts and soils, Environmental Technology Letters, 6, 137-144 https://doi.org/10.1080/09593338509384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