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of Biomass,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P/B Ratio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in Korea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에 따른 식물량, 순 일차 생산성 및 P/B 비의 변화

  • 이규송 (강릉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Changes of the biomass,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P/B ratio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were investigated in Pyoungchang, Gangwon-Do, Korea. Aboveground standing biomass of herb species showed the maximum value (3.8 ton/ha) in the 5 year old-field, and decreased thereafter. Litter dry weight was depicted as a parabola form showing the gradual increment during the first 50 years and slight decrease thereafter. Basal area tended to increase logarithmically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Tree density showed the gradual increment during the first 15 years and decreased thereafter by the self-thinning process. In the later successional stage (80 years old-field), the shoot density distribution of the tree species by DBH class showed the reverse J shaped curve and Quercus mongolica dominated. Total standing biomass increased slowly in the earlier successional stages and later successional stages, and increased rapidly during the mid-successional stages ($10{\sim}50$ years old-field). Total standing biomass in the 5, 10, 20, 50 and 80 years old-fields were estimated 5, 14, 75, 251 and 373 ton/ha, respectively. Annual net primary productivity were depicted as a parabola form showing the gradual increment during the first 35 years and declined thereafter. The increment rates of the annual net primary productivity in the earlier successional stages showed the higher value than mid-successional stages. The annual net primary productivities in the 5, 10, 20, 35, 50 and 80 years old-field were estimated 8.6, 9.3, 12.9, 15.1, 13.7 and 3.6 ton/ha/yr, respectively. The estimated P/B ratio tended to decrease exponentially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The estimated P/B ratio in the 5, 10, 20, 50 and 80 years old-field were 0.60, 0.39, 0.19, 0.06 and 0.01,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fairly in accordance with the bioenergetics model during the forest succession projected by Odum(1969).

강원도 평창군 일대에서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에 따른 식물량, 순 일차 생산성 및 P/B 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초본의 지상부 식물량은 5년차 묵밭에서 3.8 ton/ha로 가장 많았다. 낙엽 건중량은 50년차 묵밭까지 증가한 다음 감소하는 포물선형 변화를 나타내었다.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흉고 단면적은 로그 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교목의 목본 수는 15년차 묵밭까지 빠르게 증가하다가 경과 년 수에 따라 자가 솎음질 과정을 거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80년차 묵밭에서 DBH 등급에 따른 목본의 분포는 역 J 자형을 나타내었고, 우점종은 신갈나무이었다. 식물 현조량은 천이 초기와 후기 단계에서 완만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중기 단계인 $10{\sim}50$년차 묵밭에서 빠르게 증가하였다. 5, 10, 20, 50 및 80년차 묵밭의 식물 현존량은 각각 5, 14, 75, 251 및 373 ton/ha로 추정되었다. 연간 순 생산성은 초기 35년간 점진적인 증가 후 감소하여 점차 안정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간 순 일차 생산성의 증가 속도는 천이 중기 단계 보다 초기 단계에서 빠르게 증가하였다. 5, 10, 20, 35, 50 및 80년차 묵밭의 순 일차 생산성은 각각 8.6, 9.3, 12.9, 15.1, 13.7 및 3.6 ton/ha/yr이었다. P/B 비율은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5, 10, 20, 50 및 80년차 묵밭에서 추정된 P/B 비율은 각각 0.60, 0.39, 0.19, 0.06 및 0.01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Odum(1969)이 제시한 삼림천이 과정의 생물 에너지론과 잘 부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 2005.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지 산림복구 p 289
  2. 곽영세. 1986. 신갈나무 숲의 연순생산성과 영양원소 순환. 서울대학교 이학석사 학위논문. p 50
  3. 김종성, 손요환, 김진수. 1995. 양평지역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졸참나무의 allometry와 임관동태 연구. 한국임학회지 84(2): 186-197
  4. 김종성, 손요환, 임주훈, 김진수. 1996.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인공조림지의 지하부 생체량, 질소와 인의 분포 및 낙엽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3): 416-425
  5. 김준호, 윤성모. 1972. 삼림의 생산구조와 생산력에 대한 연구 II. 춘천지방의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의 비교. 한국식물학회지 15: 1-8
  6. 김준호, 임영득, 조도순, 고성덕, 민병미. 1982. 지리산 피아골 극상 림의 군락구조, 식물량 및 1차생산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 보전협회 조사보고서 21: 53-73
  7. 동해안 산불피해지 공동조사단. 2000. 동해안 산불 피해지역 정밀 조사보고서 I, II
  8. 박인협, 김준선. 1989.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무천연림의 물질 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8(3): 323-330
  9. 박인협. 1985. 백운산지역 천연림생태계의 삼림구조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농학박사학위논문. p 45
  10. 박인협, 문광선. 1994. 주요 참나무류 천연림의 물질생산 및 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3(2): 246-253
  11. 박인협, 이돈구, 이경준, 문광선. 1996. 참나무류의 성장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I) - 경기도 광주지방의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천연 임분을 대상으로 -. 한국임학회 지 85(1): 76-83
  12. 오정수. 1997. 산림생태계의 환경형성 기능 평가. 서울여자대학교 생태연구소 설립기념 심포지움 '환경문제의 생태학적 접근' 자료집. pp 82-90
  13. 유영한. 1994. 광릉의 낙엽수림과 침엽수림 소유역 생태계내 무기 영양소의 유입과 유출. 서울대학교 이학박사학위논문. p 142
  14. 이규송, 김준호. 1998. 조림이 초기 묵밭 식생천이에 미치는 영향. 강릉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논문 1(1): 31-39
  15. 이규송, 박상덕. 2005. 산불지역 숲의 발달과 토양유실의 변화. 방재정보 7(4): 18-33
  16. 이규송, 정연숙, 김석철, 신승숙, 노찬호, 박상덕. 2004. 동해안 산불 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한국생태학회지 27(2): 99-106
  17. 이규송. 1995. 진부 (강원도 평창군) 일대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 기구. 서울대학교 이학박사학위논문. p 236
  18. 이도원, 조도순, 이준호, 박종화. 1997.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점봉산 자연보전지구의 생태적 구조와 기능 분석. 한국과학재단. p 313
  19. 이도형. 2004. 흉고직경과 수고에 의한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량 추정. 한국임학회지 93(3): 242- 250
  20. 이우철, 김종진, 전상근, 1979. 강원도의 화전적지에 있어서 제 2차 천이의 초기군락발달에 관한 연구. 자연보전연구보고서 1: 145-166
  21. 호을영. 1975. 강원도 화전정리 사업에 수반되는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28: 50-66
  22. 홍보람. 2005. 점봉산 산림 식생의 장기생태모니터링을 위한 기초 조사. 강릉대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 학위논문. p 90
  23. 홍선기, 강호정, 김은식, 김재근, 이은주, 이재천, 이점숙, 임병선, 정연숙, 정흥락. 2005. 생태복원공학 - 서식지와 생태공간의 보전과 관리. 라이프사이언스. 서울. p 310
  24. Ashby WC. 1987. Forests. In: Restoration ecology (Jordan III WR, Gilpin ME, Aber JD,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89-108
  25. Bazzaz FA. 1968. Succession on abandoned fields in the Shanee hills southern Illinois. Ecology 49: 924-936 https://doi.org/10.2307/1936544
  26. Connell JH, Slatyer RO. 1977. Mechanisms of succession in natural communities and their role in community stability and organization. Am. Nat. 111: 1119-1124 https://doi.org/10.1086/283241
  27. Greene DF, Gauthier S, Noel J, Rousseau M, Bergeron Y. 2006. A field experiment to determine the effect of post-fire salvage on seedbeds and tree regeneration. Front Ecol Environ 4(2): 69-74 https://doi.org/10.1890/1540-9295(2006)004[0069:AFETDT]2.0.CO;2
  28. Gross KL. 1987. Mechanism of colonization and species persistence in plant communities. In: Restoration ecology (Jordan III WR, Gilpin ME, Aber JD,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173-188
  29. Harrison JS, Werner PA. 1982. Colonization by oak seedlings into a heterogeneous successional habitat. Can J Bot 62: 559-563 https://doi.org/10.1139/b84-083
  30. Horn HS. 1976. Succession. In: Theoretical ecology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 May RM, ed). Saunders, Philadelphia. pp 187-204
  31. Inouye RS, Huntly NJ, Tilman D, Tester JR, Stillwell M, Zinnel KC. 1987. Old-field succession on a Minnesota sand plain. Ecology 68: 12-26 https://doi.org/10.2307/1938801
  32. Johnson FL, Risser RG. 1974. Biomass, annual net primary production and dynamics of six mineral elements in a post oak-black oak forest. Ecology 55: 1246-1258 https://doi.org/10.2307/1935453
  33. Kang SJ. 1982. Ecological studies on the burned fields in Korea. Tohoku Univ. Ph. D. Thesis. p 103
  34. Kimmins JP. 1987. Forest Ecolog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p 531
  35. Kira T, Shidei T. 1967. Primary production and turnover of organic matter in different forest ecosystem of the western pacific. Jap J Ecol 17: 70-87
  36. Kwak YS, Kim JH. 1992. Nutrient cyclings in mogolian oak (Quercus mongolica) forest. Korean J Ecol 15(1): 35-46
  37. Lee KS, Kim JH. 1995a. Seral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and recovery of soil fertility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Korean J Ecol 18(2): 243-253
  38. Lee KS, Kim JH. 1995b. Seral changes in floristic composition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Korean J Ecol 18(2): 275-283
  39. Nakagoshi N, Nehira K, Takahashi F. 1987. The role of fire in pine forests of Japan. In: The role of fire in ecological systems (Trabaud L, ed). SPB Academic Publishing, Hague. pp 91-119
  40. Odum EP. 1960. Organic production and turnover in old field succession. Ecology 41:34-49 https://doi.org/10.2307/1931937
  41.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https://doi.org/10.1126/science.164.3877.262
  42. Osboronova J, Kovarova M, Leps J, Prach K. 1990. Succession in abandoned field - Studies in central Bohemia, Czechoslovakia -. Geobotany 15.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p 168
  43. Vitousek PM, Reiners WA. 1975. Ecosystem succession and nutrient retention: A hypothesis. BioScience 25: 376-380 https://doi.org/10.2307/1297148
  44. Whittaker RH, Likens GE. 1975. The biosphere and man. In: Primary productivity of the biosphere (H. Lieth H, Whittaker RH, eds). Springer-Verlag, New YorK. pp 305-328
  45. Yim YJ, Kim SD. 1983. Climate-diagram map of Korea. Korean J Ecology 6: 261-272

Cited by

  1. Initial Development of Forest Structure and Understory Vegetation after Clear-cut in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uthern Gangwon-do Province vol.103, pp.1, 2014, https://doi.org/10.14578/jkfs.2014.103.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