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관절 운동 분율의 측정

Measurement of shoulder motion fraction and motion ratio

  • 강영한 (대구가톨릭 대학병원 진단방사선과)
  • 발행 : 2006.06.30

초록

연구 목적: 견관절 운동분율과 운동비의 측정과정을 이해하고, 견갑 흉곽관절과 관절와 상완관절의 운동비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 및 방법: 100명의 건강한 대상자를 연령대별(20, 30, 40, 50, 60대)로 20명씩 나누어 각각의 견관절 촬영과 분율을 계산하였다. 견갑극에 수직이고 관절와 면에 평행인 상을 재현하기 위하여 상완이 자연지위일 때 머리 방향 $15^{\circ}$, 90도 거상 시 $19^{\circ}$, 최대 거상 시 $22^{\circ}$로 입사각을 적용하였고, 몸의 회전 각도는 $40^{\circ},\;36^{\circ},\;22^{\circ}$로 시상면에서 외전시키며 촬영하였다. 관절운동 방향에 따른 운동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측각도계(goniometer)를 이용하여 양측 견관절의 운동범위를 측정하였다. 전운동의 팔의 각도와 방사선 영상의 팔의 각도를 측정하여 상완관절 운동 각도와 견갑 흉곽관절의 운동 각도를 계산하였다. 결 과: 오른팔의 운동 분율은 $90^{\circ}$에서 남자 1.22, 여자 1.70 이었고, 최대 거상 시 1.63, 1.84였다. 왼팔은 $90^{\circ}$에서 1.31, 1.54, 최대 거상 시 각각 1.57, 1.32였다. 오른 우세팔은 $90^{\circ}$에서 1.58, 최대 거상 시 1.43이었고, 왼쪽 우세팔 각각 1.82, 1.94였다. 20대에서는 $90^{\circ}$ 거상 시 1.56, 최대 거상 시 1.52였고, 30대는 1.82, 1.43, 40대는 1.23, 1.16, 50대는 1.80, 1.28, 60대는 1.24, 1.75로 나타났다. 견관절의 운동 특성상 남녀에 따른 운동비, 우세팔과 비우세팔, 연령대에 따른 운동비를 측정하여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견관절 운동 분율의 기준은 견관절의 운동장애를 확인하고 견관절 질환의 치료 후 정상적인 견관절 기능회복 여부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견관절 운동비 측정을 위한 운동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실제 운동비를 계산할 수 있으면 방사선학적 자세와 입사각 설정에도 유용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bout the measurement of shoulder motion fraction and motion ratio. We proposed the radiological criterior of glenohumeral and scapulothoracic movement ratio. Materials and Methods : We measured the motion fraction of the glenohumeral and scapulothoracic movement using CR(computed radiological system) of arm elevation at neutral, 90 degree, full elevation. Central ray was $15^{\circ},\;19^{\circ},\;22^{\circ}$ to the cephald for the parallel scapular spine, and the tilting of torso was external oblique $40^{\circ},\;36^{\circ},\;22^{\circ}$ for perpendicular to glenohumeral surface. Healthful donor of 100 was divided 5 groups by age(20, 30, 40, 50, 60). The angle of glenohumeral motion and scapulothoracic motion could be taken from gross arm angle and radiological arm angle. We acquired 3 images at neutral, $90^{\circ}$ and full elevation position and measured radiographic angle of glenoheumeral, scapulothoracic movement respectively. Results : While the arm elevation was $90^{\circ}$, the shoulder motion fraction was 1.22(M), 1.70(W) in right arm and 1.31, 1.54 in left. In full elevation, Right arm fraction was 1.63, 1.84, and left was 1.57, 1.32. In right dominant arm(78%), $90^{\circ} and Full motion fraction was 1.58, 1.43, in left(22%) 1.82, 1.94. In generation 20, $90^{\circ} and Full motion fraction was 1.56, 1.52, 30' was 1.82, 1.43, 40' was 1.23, 1.16, 50' was 1.80, 1.28, 60' was 1.24, 1.75. There was not significantly by gender, dominant arm and age. Conclusion : The criterior of motion fraction was useful reference for clinical dignosis the shoulder instabil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