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 Standard of Traffic Signal Controller and Expectations of Standardization

교통신호제어기 표준 규격 개발

  • 정준하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 안계형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 오영태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 고광용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Published : 2006.04.01

Abstract

As of March 2005, the standard of traffic signal controllers became effective. The standard presents specifications and functions of a traffic signal controller which collects traffic information, sends it to the traffic control center, and controls traffic signal with adequate traffic signal timing provided by the traffic control center. Since the controllers by the previous standard lack parts compatibility and have different control functions and communication protocol, the maintenance cost has been increased. Also, some important functions like conflict detection have not worked out perfectly.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first of all, this standard secures hardware compatibility. Conflict detection method has been enhanced.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traffic control center was included in the standard. With this standard, independent maintenance system and prompt treatment of hardware malfunctions becomes possible. Also, the unified intersection traffic control method will increase traffic safety.

실시간 교통정보 수집과 센터 온라인 신호제어를 기본기능으로 하는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가 개발되어 2005년 3월부터 발효되었다. 발표된 규격은 가로구간의 교통상황을 수집하고, 이를 관제센터에 전송하며, 적절한 교통상황별 신호시간을 부여받아 신호등을 제어하는 지능적인 교통신호기의 표준 사양과 기능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과거의 교통신호기들은 부품이 호환되지 않고 제어기능과 통신방법이 상이하여 도시별로 호환되지 않았으며 유지관리의 시간적 경제적 비용을 증가시켰다. 또한 모순검지방법 등 일부 교통안전에 중요한 기능이 비합리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본 규격에서는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먼저 하드웨어 호환성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모순검지방법을 보완하였으며, 관제센터와의 통신규약을 규격에 포함하여 모든 도시의 센터에 호환되도록 하였다. 개발된 규격은 시제품 제작과 시험과정을 거쳐 결정되었다. 본 규격으로 제조자에 비 의존적인 유지보수체계가 가능해지며 저렴하고 빠른 고장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일관된 정보처리 및 제어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센터설치 업체의 지역선점효과가 점차 사라질 것이며, 지역별 교차로의 교통통제방법이 일원화되어 표준적이고 안전한 교통제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