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raffic Signal Operation Strategies On Median Bus Lane

중앙버스전용차로제 실시에 따른 신호운영 방안 연구

  • 김균조 (서울지방경찰청 교통개선기획실 연구기획팀) ;
  • 김영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진태 (서울지방경찰청 교통개선기획실) ;
  • 정광복 (서울지방경찰청 교통개선기획실 연구기획팀)
  • Published : 2006.04.01

Abstract

For urban highway network, traffic control strategy paradigm has been shifted from the private auto-oriented to the public transit-oriented. Introduction of exclusive median bus lanes (EMBL) in Seoul, Korea, has especially accelerated such changes in transportation policy and thus highway environment. Left-turning movement treatment at signalized intersections where EMBL pass through has been emerged as one of the rising problems associated with a current signal head with 4-signal lens, the Korea standard. This study proposes a new signal phase operation scheme for signal operation at an isolated intersection where EMBL pass through. The authors propose to use of an exclusive bus signal head indicating right-of-way of transits on EMBL only. Based on it, three different phase operation scheme were developed for left-turn treatments for traffic control with (1) traffic responsive control mode and (2) time-of-day traffic control mode. In addition, methodologies to design and develop signal maps for the proposed signal phase schemes are also developed. The proposed operation can only be possible when additional uses of signal state relay boards are allowed.

중앙버스전용차로제가 도입됨에 따라 서울의 도로환경은 단기간에 급격하게 변하였으며, 이러한 급격한 변화에 미리 준비되지 못하였던 신호운영상의 문제점들이 경험되고 있다. 장 임계적인 문제점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구간 신호교차로에서 일반차량 좌회전 진행을 허용할 경우, 현재 우리나라가 규정하고 있는 차량 4색신호등의 한계로 인한 신호의 비효율적 운영이다.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구간 신호교차로에서 일반차량 좌회전의 현실적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앙차로전용신호의 도입을 준비하기 위하여 교통관제센터의 신호운영모드별 선행좌회전 및 후행좌회전 운영방안을 검토하고, 각 운영방안 별 Signal Map 구성방안을 점검한다. Signal Map 작성방안을 검토한 결과 기존의 신호제어 장비에 추가의 신호등기신호보드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제안된 방법의 현장 적용이 용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