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Network Reshuffling Alternatives Based on Key Factors Affecting the Mode Share of Seoul Metro

서울시 도시철도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반영한 노선 조정 효과 분석

  • Received : 2006.08.08
  • Accepted : 2006.09.13
  • Published : 2006.11.29

Abstract

Key factors affecting the mode share of Soul metro are investigated. The log-regression model, which can describe the elasticity of the factors with ease, is established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mode choice model is used. The log-regression model requires lower level of data availability for calibration and identifies the impact of the factors on mode share straightforwardl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main reasons why the current mode share of railway is low are due to several problems such as winding lines, inconvenient transfers and unnecessary bypasses. The calibrated model is adopted to evaluate the network reshuffling alternatives. The network reshuffling is to rearrange the existing inefficient railway lines that have frequent transfers and many winding segments. The proposed network reshuffling, which includes straightening winding lines and changing grade separated transfers into cross-platform transfers, turned out to be a good measure to tackle the problems.

본 연구는 노선 조정을 통하여 현재의 낮은 수송 분담률을 개선할 수 있도록 개선안을 적용한 결과에 대한 효과 분석을 주된 내용으로 하되, 교통수단선택과 대중교통 네트워크 분석의 복잡한 반복 계산이 없이 네트워크 속성을 집약적으로 반영하며 분담률을 집합적 개념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통해 기존의 수집 가능한 자료를 이용하여 Network Reshuffling에 의한 분담률 변화 효과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고 그 사례연구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낮은 도시철도 분담률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첫째 노선의 과도한 굴곡 및 우회가 포함된 불합리한 도시철도 노선설계, 둘째 잦은 환승과 수직 환승으로 인해 초래되는 긴 환승길이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원인 및 문제 해결에 대한 방안으로 단거리 링크 건설을 통한 기존 노선 간 직결 서비스 창출 개념의 Network Reshuffling과 서울시 도시철도에 포함되어 있는 51개 환승역에서의 환승 불편 해소를 위한 수직 환승에서 동일 승강장 환승으로의 전환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배영석 등(1995) 개별행태 접근방법에 의한 교통수단선택 행태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3권 제4호, pp. 47-59
  2. 손기민 등(2005) 서울시 지하철 노선체계 개편 방안, 기본연구 보고서(2005-R-10),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 양인석 등(2003), 이분산 로짓모형의 추정과 적용,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4호, pp. 57-66
  4. Badoe, D. A. and Miller, E. J. (1995) Analysis of the Temporal Transferability of Disaggregate Work Trip Mode Choice Mode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493, pp. 1-11
  5. Ben-Akiva, M. and Lerman, S. R. (1987) Discrete Choice Analysis, The MIT Press
  6. Bowman, J. and Ben-Akiva, M. (2001) Activity-based Disaggregate Travel Demand Model System with Activity Schedules, Transportation Research A, 35, pp. 1-28 https://doi.org/10.1016/S0191-2615(00)00025-4
  7. Dobson, A. J. (2002) An introduction to generalized linear models, Chapman & Hall/CRC
  8. Ortuzar, J. de D. and Willumsen, L. G. (1994) Modelling Transport.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9. Stopher, P. R. and Meyburg, A. M. (1975) Urban Transportation Modeling and Planning, Lexington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