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동전기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에 관한 연구

Dewatering of Sewage Sludge by Electrokinetics

  • 김지태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
  • 원세연 ((주)유신코퍼레이션) ;
  • 조원철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투고 : 2004.08.25
  • 심사 : 2004.09.20
  • 발행 : 2006.11.29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동전기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탈수 실험을 실시하였다. 소화 과정을 거치고 탈수과정에 투입되기 전 응집제가 첨가되지 않은 슬러지에 중력 및 가압, 전기삼투 및 전기삼투펄스 기법을 적용하여 탈수 효율을 분석하였으며, 소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농축조에서 배출된 슬러지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법으로 탈수 실험을 실시하여 농축 슬러지의 탈수율을 평가하였다. 압력을 가하지 않은 중력 탈수 방식에 직류전기장을 적용한 경우 적용 전압에 비례하여 탈수율이 증가하여 전기삼투에 의한 슬러지 탈수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짧은 시간에 높은 탈수율을 얻기 위해서는 고전압이 필요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슬러지 내에서 높이에 따른 함수비 변화폭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펄스 기법을 도입한 결과 실험 중반부터 배출량 및 부피감소량이 정전압에 비해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슬러지 내 함수비가 감소하면서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농축 슬러지에 대한 중력식 및 압력식 전기삼투 탈수 기법도 소화 슬러지와 마찬가지로 높은 탈수율을 나타내어 동전기에 의한 탈수 가능성이 입증되었으며, 소화조 운영 목적 중 화학적인 부분들이 전기 삼투에 의한 탈수에 의해 어느 정도 보완될 수 있는지가 평가된다면 슬러지 처리 공정 및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an experiment of sewage sludge dewatering is carried by using electrokinetic method, and the electrokinetic dewatering efficiency of digested sludge is analyzed. Digested sludge without coagulants is selected and gravitational and pressing dewatering methods ar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electro-osmotic and electro-osmotic pulse technology. After the test of digested sludge, dewatering test of thickened sludge is carried to evaluate the electrokinetic dewatering feasibility of thickened sludge. Under the condition of constantly applied voltage, however, electrical resistance increases with decreasing of water content so that dewatering rate decreases with time. To reduce such a hindrance caused by constantly applied voltage, electro-osmotic pulse technology which is considered to reduce the difference of water content with height, is applied. For the application of electro-osmotic pulse, the dewatered flow rate and the dewatered volume became more increasing from the middle of the dewatering process than that of continuous voltage. Through the test of thickened sludge, electro-osmotic dewatering combined with gravitational and expression also showed high dewatering rate, which proved the possibility of using electrokinetic dewatering.

키워드

참고문헌

  1. 편집부편(1998) 공정시험방법, 동화기술
  2. 민경석, 김홍태, 황상철, 안영호, 남광현, 서광희(1995) 전기침투식 Belt Press Filter를 이용한 슬러지틸수에 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한국폐기물학회, 제 12권, 제5호, pp. 544-551
  3. 오인규(1999) Electrokinetics 기술에 의한 상수 슬러지 탈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4. Buijs, PJ., Van Diemen, A.J.G., and Stein, H.N. (1994) Efficient dewatering of waterworks sludge by electroosmosis,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85, pp. 29-36 https://doi.org/10.1016/0927-7757(94)02741-2
  5. Schang, J.Q. and Lo, K.Y. (1997) Electrokinetic dewatering of Florida phosphate clay,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Special Edition
  6. Yoshida, H., Shinkawa, T., and Yukawa H. (1985) Water content and electric potential distributions in gelatinous bentonite sludge with electroosmotic dewatering,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of Japan, Vol. 18, No.4, pp. 337-342 https://doi.org/10.1252/jcej.18.337
  7. Yoshida, H. (1993) Practical aspects of dewatering enhanced by electro-osmosis, Drying Technology, Vol. 11, No.4, pp. 787-814
  8. Yoshida, H., Kitajyo, K., and Nakayama, M. (1999) Electroosmotic dewatering under A. C. electric field with periodic reversals of electrode polarity, Drying Technology, Vol. 17, No.3, pp. 539-554 https://doi.org/10.1080/07373939908917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