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isk of Flood Damage Potential and Design Frequency

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도와 기왕최대강수량을 이용한 설계빈도의 연계

  • 박석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 이건행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 경민수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 김형수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Received : 2006.01.24
  • Accepted : 2006.07.03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e Potential Flood Damage (PFD) is widely used for representing the degree of potential of flood damage. However, this cannot be related with the design frequency of river basin and so we have difficulty in the use of water resources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Potential Risk for Flood Damage Occurrence (PRFD) was introduced and estimated, which can be related to the design frequency. The PRFD has three important elements of hazard, exposure, and vulnerability. The hazard means a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flood event, the exposure represents the degree that the property is exposed in the flood hazard, and the vulnerability represents the degree of weakness of the measures for flood prevention. Those elements were devided into some sub-elements. The hazard is explained by the frequency based rainfall, the exposure has two sub-elements which are population density and official land price, and the vulnerability has two sub-elements which are undevelopedness index and ability of flood defence. Each sub-elements are estimated and the estimated values are rearranged in the range of 0 to 10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s also applied to determine weighting coefficients in the equation of PRFD. The PRFD for the Anyang river basin and the design frequency are estimated by using the maximum rainfall. The existing design frequency for Anyang river basin is in the range of 50 to 200. And the design frequency estimation result of PRFD of this study is in the range of 110 to 130. Therefore, the develope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PRFD and the design frequency for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re used and the method for the watershed and the river channel are to be applied in the future study.

현재 홍수피해에 대한 잠재성은 홍수피해잠재능(PFD)에 의해 나타내고 있으나 하천유역의 설계빈도와의 연계성이 없어 실무에서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도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그 산정방안을 마련하여 산정된 잠재위험도와 설계빈도와의 연계성을 제시하였다. 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도는 위험성, 노출성, 취약성의 세가지 세부요소로 산정되며, 위험성은 홍수사상의 발생확률, 노출성은 자산 등이 특정 홍수사상 혹은 홍수재해에 노출되어 있는 정도, 취약성은 홍수에 대비한 시설들의 취약 정도를 나타낸다. 이 세부요소들은 또 다시 세세부요소를 가지며 위험성은 지속 기간별 빈도별 확률강우량등으로 표현가능하고, 노출성은 인구밀도와 공시지가, 취약성은 지역낙후도지수와 홍수방어능력지수를 세세부요소로 선정하였다. 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도 산정식의 가중계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전문가의 의견을 통한 계층 분석과정(AHP)기법을 이용하였다. 안양천 유역에 대하여 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도를 산정하였고, 잠재위험도와 기왕최대강수량을 이용하여 시 군 구 단위로 설계빈도를 산정할 수 있었다. 안양천의 기존 설계빈도는 본류구간에서는 200년, 지류구간에서는 50년에서 100년사이로 정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유역 전체에 대하여 설계빈도를 약 110년에서 130년정도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법을 이용하여 행정구역단위의 설계빈도를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유역별 및 하천별로도 잠재위험도와 설계빈도를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99) 사회기반시설 홍수방어능력 평가기법 개발, pp.165-203
  2. 건설교통부(2000)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3. 건설교통부(2001) 유역종합치수계획지침작성
  4. 건설교통부(2002a) 하천시설물 설계시 신뢰도 분석 개념 도입에 관한 연구
  5. 건설교통부(2002b) 하천설계기준
  6. 건설교통부(2004) 안양천 유역종합치수계획 보고서
  7. 한국개발연구원(200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다기준분석방안 연구
  8. 한국수자원공사(2001) 치수안전도 지표설정 및 사례연구 보고서
  9. 김정훈, 김영오(2003) 홍수피해잠재능 개선벙안,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2373-2378
  10. 박호상, 심우배, 송재우(2003) 돌발홍수 발생시 도시하천의 치수 안전도 분석, 한국도시방재학회지, 한국도시방재학회, pp. 125-132
  11. 안재현, 강두선, 윤용남(2005) 홍수피해잠재능 산정의 개선빙반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2656-2659
  12. 정성원, 이대희 , 문용주, 김규호(2001). 홍수피해잠재능(PFD)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pp. 601-606
  13. Kron, W. (2002) Flood Risk = HazardxExposurexVulnerability
  14. Flood Defence. Saaty, T.L. (1980) The A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 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