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of Computerized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건설해체공사의 폐기물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발

  • 김창학 (진주산업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효진 (대한주택공사 연구개발실)
  • Received : 2006.03.14
  • Accepted : 2006.04.28
  • Published : 2006.07.31

Abstract

Now, in a domestic country, the rebuilding and redevelopment of existing hous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with an economic growth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 As a result of that, a lot of C&D waste has been also produced. Nevertheless, it is not easy to find the research results for appropriat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C&D waste in domestic.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optimum de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for minimizing construction waste and increasing reuse or recycle rate of material different from traditional demolition. The system makes it possible to plan and manage in advance quantity of C&D waste, demolition methods of each structural elements and application methods of produced C&D waste through an integrated and computerized system.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ultimately to contribute to minimizing environmental damages and reducing construction waste quantity of a country. This system is largely composed of four modules such as planning of preliminary demolition survey, estimating of demolition quantity, planning of demolition schedule and planning of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and each module can be also us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 user.

현재 국내에서는 많은 경제성장과 생활여건의 개선에 따라 기존주택의 재건축과 재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하고 있으나 이를 적절히 처리하고 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철거개념과는 달리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자원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분별해체 관리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본 시스템은 해체량의 산정에서부터 각 구조부위별 해체방법, 발생된 자원의 활용계획 등을 통합전산시스템에 의해 사전에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은 국가 전체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파악하고 저하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도록 하여 환경부하량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해체사전조사계획, 해체물량산정, 해체공사계획, 폐기물관리계획의 4개 모듈로 구성되어 있고, 이 모듈은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개별 모듈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주택공사(2003) 공동주택 철거잔재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해체기술 및 시스템 개발, 건설핵심기술 연구개발 사업 1차년도 중간보고서
  2. 대한주택공사(2004) 환경위해요인 최소화를 위한 도심지 고층건물 유형별 최족 해체기술개발, 2003년 건설기술기반사업 1차년도 중간보고서
  3. 환경부(2002) 환경통계연감
  4. 建設廢棄物(特定建設資材廢棄物)(2002) 再資源化等促進事業報告書, 環境省大臣官房 廢棄物. リサイクル對策部企劃課リサイクル推進室
  5. コンクリト廢棄物の再利用(2003) 日本コンクリト工學協會 廢棄物のコンクリト材科への利用報告書 別册
  6. 建設副産物の發生抑制.再生利用技術の開發報告書, 建設省, 財團法人 國土開發技術硏究センタ一, 平成 8年
  7. (社)全國解體工事業団休體連合會 BROCHURE, 建設工事に係る 資材の再資源化等に關する法律(略称:建設リサイクル法)のご案內
  8. (社)東京建物解體協會 BROCHURE, 建設リサイクル法 分別解體. 處理フロ一
  9. 建設副産物リサイクル廣報推進會議 BROCHURE, 繌合的建設副産物對策(2003年版)
  10. Chini, A.R. (2001) Deconstruction and Materials Resue : Technology, Economic, and Policy, CIB
  11. Chini, A.R. (2002) Design for Deconstruction and Materials Resue, CIB Publication
  12. Philip Crowther (2000) Building Deconstruction in Australia, CIB
  13. Frank Schultmann (2000) The State of Deconstruction in Germany, CIB
  14. Ton Kowalczyk (2000) State of Deconstruction in the Netherlands, CIB
  15. Lars Myhre (2000) The State of Deconstruction in Norway, CIB
  16. Frank Schultmann (2001) Methodologies and Guidelines for Deconstruction in Germany and France, CIB
  17. Charles J. Kibert (2000) Implementing Deconstruction in the United States, CIB
  18. James W. Hurley (2002) Design for Deconstruction-Tools and Practice, CI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