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ying Safety Area Model Creation and Obstruction Identification using 3D GIS Techniques

3차원 GIS 기법을 이용한 비행안전구역 모형 생성 및 장애 식별

  • 박완용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허준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손홍규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이용웅 (국방과학연구소)
  • Received : 2005.10.07
  • Accepted : 2005.12.16
  • Published : 2006.05.31

Abstract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techniques to analyze the flying safety area focused on the air base rules for military that has been the criteria of the altitude restrictions around the airfield for both civilian and military purposes in Korea. We wanted to present the effective method to analyze the restricted area and to help solving problems that could result recently from the altitude restrictions around the airfield at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projects. To do this we proposed the methods to effectively generate the model of the flying safety area in accordance with the air base rules using 3D GIS techniques and to automatically identify the obstructions caused by the natural and man-made features in those areas. To apply the proposed methods actually to the airfield chosen for the study area, we presented the approaches to generate geospatial informations based on the commercial digital maps and satellite imagery and by generating the flying safety area model, identifying the obstructions, and visualizing the integrated model for the flying safety area analysis we showed the practical usability of the proposed techniques.

본 논문은 우리나라 민 군 겸용 비행장의 고도제한의 기준이 되는 군용항공기지법을 중심으로 비행안전구역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여 개발사업 시행시에 제한 지역을 분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최근 대두되고 있는 비행장 주변지역의 고도제한에 따른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리정보체계(GIS) 기법을 활용하여 항공기 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비행안전구역의 3차원 모형을 효과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비행안전구역 내에서 자연지형 및 인공지물로 인한 장애지역과 대상을 자동으로 식별하기 위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법을 실제적으로 적용해보기 위하여 실험지역으로 선정한 비행장에 대하여 상용의 수치지도 자료와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지형공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단계적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실험지역 비행장의 비행안전구역 모형을 생성하고, 장애지역과 대상을 식별하여 비행장 비행안전구역 분석을 위한 통합 모형을 가시화함으로써 제시한 방법들의 활용성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지리원 (2000) 수치지도 레이어(표준코드 및 심볼)
  2. 국방부(1998) 군용항공기지법
  3. 유복모 (1999) 지형공간정보론, 동명사
  4. 임종표(1999) 공항주변의 고도제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5. ClearFlite, http://socetset.com/products/clearflite_main.htm
  6. ESRI (2004) ArcGIS 9 using ArcGIS 3D Analyst, ESRI
  7. FAA (1989) Federal Aviation Regulations Part 77 - Appendix B,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8. Fraser, C.S. et al (2002) Processing of Ikonos imagery submetre 3D positioning and building extraction,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56, pp. 177-194 https://doi.org/10.1016/S0924-2716(02)00045-X
  9. Leica Geosystems (2003) Leica Photogrammetry Suite Stereo Analyst User's Guide, Leica Geosystems GIS & Mapping, LLC
  10. McCamic, F. (2003) GPS, GIS, and Removal of Airport Obstructions, GPS World, July, pp. 26-33
  11. McCann, F. et al. (2000) Airfield Obstruction Mangement System, The Military Engineer, No. 607, pp. 36-38
  12. NGA (2005) Airfield Survey Specification Document for the Terminal Aeronautic GNSS Geodetic Survey,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pp. 3-31
  13. Wang, C. et al. (2004) Identification and risk modeling of airfield obstructions for aviation safety management, ISTANBUL ISPRS 2004, Commission 2. pp. 108-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