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arking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by Analysis of Parking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mbly

국회의사당 주차이용특성 분석을 통한 주차관리정책 방향 연구

  •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권영인 (한국교통연구원 도로교통연구실) ;
  • 오승훈 (경기대학교 도시교통공학전공)
  • Received : 2005.11.14
  • Accepted : 2005.12.09
  • Published : 2006.05.31

Abstract

Nationals Assembly have experiencing unbalance between capacities and demand of parking facilities because of increasing parking demand, free parking policy, long term parking and passenger car use of workers, usage of neighborhood office workers and visitors. The lack of parking facilities cause illegal parking on the street inside and outside of National Assembly which result in the disorder of parking culture. To solve these parking problems, this study suggest parking management system to enter the National Assembly for the short term and charging parking fee, operation by private company, constructing parking building by abrogation of upper limit and construction of ground park, and so on. The study, also, suggested to strengthen weekday or 10 day shift system, to increase shuttle bus and commuting bus, to activation of Han River waterside parking area, public transportation with those new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the conclusion, the parking problems of National Assembly should be focused more on parking management than the parking facilities supply.

국회주차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주차수요와 함께 주차장 이용을 무료로 개방하여 상근자들의 장시간 주차, 국회방문 공무원 및 민간차량의 자가용이용 선호, 국회업무이외에 주변 상가나 오피스 이용차량의 국회주차장 무단 점유 등으로 주차시설의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국회내 주차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국회내부 및 외부 도로상의 불법주차차량으로 국회주차질서는 매우 무질서하다. 본 연구는 국회의사당의 주차실태 및 이용실태조사를 근간으로 단기적으로 유출 입 관리시스템 구축, 중 장기적으로 국회주차장의 유료화 및 관리운영의 민간위탁, 주차장 상한제 폐지를 통한 입체주차장 건설과 지상주차장의 공원화 방안 등 적극적인 주차관리대책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주차관리대책과 병행하여 상근자 및 방문자의 주차수요를 관리하기 위해 요일제와 부제운행의 강화, 셔틀버스노선 및 통근버스 노선의 확대, 둔치주차장의 이용활성화 방안, 다양한 대중교통이용촉진대책의 시행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국회 주차문제는 시설공급보다 주차수요를 관리하는 수요관리정책이 더 적합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울시 (2002) 새서울 주차백서, 서울특별시 교통관리실 주차계획과
  2. 이홍로, 황인철(2003) 교통안전을 위한 불법주차 개선방안 연구, 교통안전공단
  3. 김창균, 이미숙(2004) 제도개선물 통한 주차질서 회복 방안,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공청회, 교통문화운동본부
  4. 이상용(2001) 대도시 주거지 주차문제의 현황과 중장기 정책방향, 대도시 주거지 주차정책 방향 모색을 위한 Workshop, 교통 개발연구원
  5. 정성용(1997) 민영주차장 활성화를 통한 대도시 불법주차 해소방안, 대한지역개발학회지, 대한지역개발학회, 제9권
  6. Chick (1996) Colin, On-Street Parking - A Guide to Practice, London : A Landor Publication
  7. Cullinane, K. and Polak J. (1992) Illegal Parking and the Enforcement of Parking Regulations : Causes Effects and Interactions, Transport Reviews, Vol. 12, No. 1
  8. Topp, H. H. (1993) Parking policies to reduce car traffic in German cities, Rransport Reviews 1993, Vol. 13, No.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