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wine Wastewater Treatment Using UV/TiO2/H2O2

UV/TiO2/H2O2를 이용한 축산폐수처리에 대한 연구

  • 김창균 (계명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정호진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6.02.07
  • Accepted : 2006.03.25
  • Published : 2006.05.3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and applicable extent of photocatalysis for the treatment of swine wastewater. Acid area was more efficient than neutral and alkalic areas in wastewater treatment, and level of pH3 was the most effective and the treatment efficiency continual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photocatalyst was increased. When the photocatalyst was increased, $TCOD_{Mn}$ was removed faster than chromaticity. Pollutants were more effectively eliminated with both UV light illumination and $TiO_2$ than with either UV or $TiO_2$ alone. The removal efficiency wa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H_2O_2$ as an oxidant, but the removal efficiency was decreased with over an dosage of $H_2O_2$. The optimal dosage of $H_2O_2$ was 200 mg/L. Continuous injection of $H_2O_2$ was required for effective oxidation.

본 연구는 축산폐수처리를 위해 광촉매의 적용가능성과 처리효율 및 범위를 실험하여 축산폐수처리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축산폐수처리에 대한 광촉매양의 증가는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냈으며 알카리 영역에서 보다 산성영역 특히 pH3에서 축산폐수처리 효과는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광촉매양의 증가에 따라 색도 보다는 $TCOD_{Mn}$의 제거가 빠르게 이루어 졌다. UV 또는 $TiO_2$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폐수처리를 하였을 때 보다 $UV/TiO_2$를 함께 적용하였을 때가 처리효율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산화제로 과산화수소를 주입하였을 때 처리효율은 $UV/TiO_2$만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처리효율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의 과산화수소 적정 주입량은 200 mg/L이며 과산화수소 적정주입량이 보다 많이 주입되었을 때는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산화수소의 주입량은 실험 시 계속적으로 주입이 되어야 높은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규석(2001) $UV/TiO_{2}$$UV/H_{2}O_{2}$에 의한 Oxalic Acid와 Citric Acid 의 분해 특성,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 김현용(2003) 폐수처리를 위한 광촉매 박막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 배우근, 고광범, 이용우, 이창호(2001) 단축질소제거공정을 이용한 양돈 폐수의 처리. 우리나라의 현안문제 : 축산폐수 문제해결을 위한 기술 및 정책심포지엄, pp. 39-47
  4. 이태규, 주현규, 김종순, 윤우석(2000) 광촉매와 환경/에너지. Catalysis, 16(1), pp. 8-21
  5. 조순행, 이수형(1992) 독성 및 난분해성 유기폐수의 처리기술 개발. 대한환경공학회논문집, 대한환경공학회, 제14권 제2호, pp. 129-141
  6. Ameta, P. Ameeta, R. Ameta, R.C., and Ameta, S.C. (1997) Use of Semiconductor oxides in the photocatalytic reaction of sodium hexanitrocobaltate(III).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A: Chem., 103, pp. 133-136 https://doi.org/10.1016/S1010-6030(96)04502-9
  7. Huang, M., Tso, E., and Datye, A.K. (1996) Removal of silver in photographic processing waste by $TiO_{2}$-based photocatalysis. Environ. Sci. Technol., 30(10), pp. 3084-3088 https://doi.org/10.1021/es960167l
  8. Kumar, S. and Davis, A.P. (1997) Heterogenous photocatalytic oxidation of nitrotoluenes, Water. Environ. Res., 69(7), pp. 1238-1245 https://doi.org/10.2175/106143097X125993
  9. Matsunaga, T. and Okochi, M. (1995) $TiO_{2}$-mediated photochemical disinfection of Escherichia coli using optical fibers. Environ. Sci. Technol., 29(2), pp. 501-505 https://doi.org/10.1021/es00002a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