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련노동력 이민의 경제적 요인: 국가수준 횡단면 분석, 1990~2000

What Drives Skilled Migration? Cross-country Evidence, 1990~2000

  • 이창근 (해군사관학교 국제관계학과 경제학)
  • 발행 : 2006.08.31

초록

최근의 이민은 과거와 달리 숙련노동력이 주도하고 있으며 그 정도가 계속해서 커져가고 있다. 본 논문은 1990~2000년 사이에 발생한 세계 각국에서 OECD 국가로의 이민 흐름 결정요인을 숙련수준별로 분석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최근 공개된 Doquier and Marfouk(2005)의 이민자료로부터 각국의 연평균 이민율을 계산하여 종속변수로 삼았고, 배출국과 유입국의 경제적 지표를 독립변수로 활용하여 횡단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입국/배출국의 평균적 소득격차, 연쇄이민, 언어와 같이 기존 연구가 밝혀 낸 인구학적 경제적 요인이 고숙련 노동의 이민에도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고숙련 노동력의 이민은 다른 숙련수준에 비해 배출국의 산업구조, 유입국에서의 숙련수준간 소득격차, 평균수명과 같이 경제구조의 발전 정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구조적 요인의 상대적인 중요성은 더 커진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이민율에 영어 사용이 미치는 영향 역시 고숙련 노동력에서 크게 나타나며, 카리브해와 서아프리카 지역 등에서는 지역적 특수성이 이민율을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뇌유출의 가장 큰 위협을 받는 것은 중간소득 집단에 속한 국가들인 것으로 보인다.

Recent migration is led by skilled labor, This paper performes a cross-country analysi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skilled migration using recently released Doquier and Marfouk(2005) data as dependent variable and economic indicators of nat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skilled migration to OECD countries are driven not only by income motive but also by structural factors, such as industrial structure and life expectancy, which have broader meanings in development. It is noteworthy that structural factors of a nation become more important as its income level rises. English seems to have positive effect on skilled migration. Some region-specific factors, proximity to USA of Caribbean countries and political instability of Gold Coast countreis, for example, are found. Middle-income countries seem to be the most vulnerable to the possible risk of brain drai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