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치과교정영역에서 컴퓨터기술의 발달로 안면 경조직 및 연조직의 3차원적인 분석이 가능해졌으며 이에 따라 교정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및 치료 후에 연조직의 3차원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안면 연조직의 3차원적 분석을 위한 표준화된 기준이 없고 임상적용이 가능한 진단 프로그램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진단 시 유용한 안면 연조직 계측점들의 3차원 계측치(X, Y, Z)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설정된 길이, 각도 및 비율의 정상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3차원 촬영 기구로 비접촉식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였으며, 한국 성인 정상교합 자 남녀 각각 30명(남자평균 20.1세, 여자평균 21.7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Rapidform 2004 프로그램(Inus Technology Inc., Seoul, Korea)으로 3차원 영상을 만든 후 3차원 입체영상에 soft tissue nasion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X축-좌우, Y축-상하, Z축-전후)를 설정하고, 29개의 계측점을 지정한 후 거리계측 45개 항목, 각도 8개 항목, 거리비율 29개 항목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계측점의 3차원 좌표(X, Y, Z)를 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계측항목을 계산하여 표준화하였다. 특히, 각도항목에서 transverse upper lip prominence (Ch(Rt)-ULPm-Ch(Lt))는 남자 $107^{\circ}$, 여자 $106^{\circ}$였고, transverse mandibular prominence (Go'(Rt)-Pog'-Go'(Lt))는 남녀 모두 $76^{\circ}$였다. Naso frontal angle (G-N'-Pn)은 남자 $142^{\circ}$, 여자 $147^{\circ}$, transverse nasal prominence (Zy(Rt)-Pn-Zy(Lt))는 남자 $112^{\circ}$, 여자 $116^{\circ}$로 남녀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차가 있었다 (p<0.05). 하안면고경 하방 2/3 (Li-Me')와 하악체길이(Go'-Me'), 입술고경(ULPm-Li)과 폭경(Ch(Rt)-Ch(Lt))의 비율은 각각 2/5로 나타났다. 관상기준평면에서 안면의 윤곽을 나타내는 계측점인 FT, Zy, Pn, ULPm, Li, Me'까지의 거리의 비는 -1/-1/1/0.5/0.5/-0.6였다. 또한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 정상교합자의 3차원 안면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이는 교정진단 또는 치료결과 비교 시 template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Developments in computer technology have made possible the 3-dimensional (3-D) evaluation of hard and soft tissues in orthodontic diagnosis, treatment planning and post-treatment results. In this study, Korean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male 30, female 30) were scanned by a 3-D laser scanner, then 3-D facial images formed by the Rapidform 2004 program (Inus Technology Inc., Seoul, Korea.). Reference planes in the facial soft tissue 3-D images were established and a 3-D coordinate system (X axis-left/right, Y axis-superior/inferior, Z axis-anterior/posterior) was established by using the soft tissue nasion as the zero point. Twenty-nine measurement points were established on the 3-D image and 43 linear measurements, 8 angular measurements, 29 linear distance ratios were obta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nasofrontal angle $(male:\;142^{\circ},\;female:\;147^{\circ})$ and transverse nasal prominence $(male:\;112^{\circ},\;female:\;116^{\circ})$ (p<0.05). The transverse upper lip prominence was $107^{\circ}$ in males, $106^{\circ}$ in females and the transverse mandibular prominence was $76^{\circ}$ in both males and females. Li-Me' was 0.4 times the length of Go-Me'(mandibular body length) and the mouth height was also 0.4 times the width of the mouth width. The linear distance ratio from the coronal reference plane of FT, Zy, Pn, ULPm, Li, Me' was -1/-1/1/0.5/0.5/-0.6 respectively. The 3-D facial model of Korean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be constructed using coordinate values and linear measurement values. These data may be used as a reference in 3-D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malocclusion and dentofacial deformity patients and applied for 3-D analysis of facial soft tissue changes before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