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과대학생의 문제해결 특성 분석

Analysis of Engineering Students' Characteristics in Design Problem Solving

  • Rho, Tae-Cheon (School of Industrial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ong (Applied Ethics Center for Engineering and Science, Kanazawa Institute of Technology) ;
  • Kim, Tae-Hoon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12.31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의 설계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설계 문제 해결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문제해결 결과에 따라 구분된 효율적인 문제해결자와 비효율적인 문제해결자 간의 문제해결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 문제의 해결 과정은 비선형적 형태로 수행되며 개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둘째, 각 단계별 소비 시간의 차이보다 각 단계 수행의 질적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 결과에 차이가 발생한다. 셋째, 설계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설계 개요 확인하기 활동과 요구사항 확인하기 활동, 해결 방안 모색하기 활동과 아이디어 모델링하기 활동이 주된 활동이다. 넷째, 설계 문제의 전체 해결 과정에서 만들기 활동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며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며, 해결 방안 모색하기 활동은 문제해결 결과와 관련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which are related with design problem solving. For this, an effective problem solver and an ineffective problem solver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process of design problem solving with a population of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College of Engineering.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design problem solving was performed in non-linear form and it was varied depending on individuals. Second, the results of problem solving could be vari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level of performance in each stage rather tha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consumption time by each stage. Third, the main activities in process of design problem solving were identifying a design brief, identifying requirements, exploring a problem solution, and idea modeling. Fourth, the making activities took place most frequently and the longest time in the entire process, meanwhile exploring a problem solution was related to the results of design problem solv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재술, 이성왕. (1988). 물리 문제 해결 실패자(초심자)와 성공자(전문가)의 문제해결 사고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1), 43-55
  2. 박학규. (1993). 학생들의 물리 문제해결 과정과 문제공간의 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송현순. (2001). 초등학생의 실과 문제해결에 대한 미시발생학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이성왕. (1987). 물리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전문가와 초심자의 사고 과정의 비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최유현. (2004). 기술과 교육을 위한 기술적 문제해결 모형의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7(2), 261-383
  6. 홍미영. (1995). 문제와 문제해결자의 특성이 화학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ABEEK (2005). 2005년 신인증기준
  8.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1997). Criteria for accreditation programs in engineering in the United States. Baltimore, U.S.A
  9. Gustafson, B. J., Rowell, P. M., & Rose, D. P. (1999). Elementary children's concepts of structural stability: three year study.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1(1), 27-44
  10. Reeve, E. M. (2001). Developing standards-based technology educaiton curricula. New Paradigm of Technology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Age. KTEA
  11. Welch, M. (1996). The strategies used by ten garde 7 students working in single sex dyads to solve a technological probl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cGill University of Montre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