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문화분류와 문화콘텐츠산업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Cultural Classification and A Culture Contents Industrial Classification

  • 안인자 (동원대학 교육서비스문헌정보과)
  • 발행 : 2006.12.30

초록

문화분류와 문화콘텐츠산업분류는 관련 정책, 지원, 통계, 평가를 위한 필수적인 기본도구이며, 이과정은 순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의 용례를 법, 문화지표, 통계, 평가항목, 관련 연구보고서 분석하여 살펴본 결과 단기적 목적에 따라 아주 다양하게 분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콜론분류방법에 기초한 분류안을 제시하였으며, 분류요소로서 통신망, 매체, 장르, 문화영역구분을 사용하였다.

A cultural classification and a culture contents industrial classification are the basic tools for cultural policies, cultural supporting, cultural statistics, and evaluations and there is a cyclic processes among them. This study finds out the varieties and short time changes of cultural categorization in laws, statistics, indexes, evaluations, research reports. As a result, colon style new cultural classification is suggested which used networks, media, genre, and cultural comparts as principl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덕. 문화원형의 층위(層位)와 새로운 원형 개념. '인문콘텐츠'. (6): 55-74
  2. 김만수. '문화콘텐츠유형론'. 글누림
  3. 김태수. 2000. '분류의 이해'. 서울 : 문헌정보처리연구회
  4.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정책개발원. 2005. '문화정책백서'. 서울: 문화관광부
  5. 문화관광부. 2003. '문화산업백서'. 서울: 문화관광부
  6. 백선복· 1987. 초점/문화통계,문화지표란 무엇인가 -문화지표와 문화발전. 월간 '문화예술'. 통권 109호 한국문화예술원
  7. 삼성경제연구원. 2002. '콘텐츠 비즈니스의 새 흐름과 대응전략'. 서울: 동연구원
  8. 유네스코위원회,문예진흥원. 1986. '문화통계 및 지표체계연구 최종보고서'. 서울: 동위원회
  9. 이문웅. 1987. <문화통계 및 지표체계연구〉를 마치고. 월간 '문화예술'. 109
  10. 정연경. 1999. 학문분류,문헌분류,연구분류에 관한 비교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논총'. 3
  11. 조광현. 2004. '디지털콘텐츠산업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서강대언론대학원학위논문
  12.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5. '예술시장 조사 설계 연구'. 서울: 동연구원
  13.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5. '예술지원의 원칙과 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 동연구원
  14.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순수예술과 문화산업의 연계전략 개발'. 서울: 동연구원
  15.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5. '문화지표체계 개선'. 서울: 동연구원
  16.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문화산업분야의 통계조사 설계연구'. 서울: 동연구원. 정책과제 2000-10
  17.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순수문화예술 진흥방안 연구'. 서울: 동연구원. 정책과제 2000
  18.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3. 'CT 발전과 문화산업 구조변화'. 서울: 동연구원. 정책과제 -2003
  19.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 '문화콘텐츠 유통로드맵 수립연구', 서울: 동연구원. 문콘진 06-01
  20.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5. '문화원형 콘텐츠 총람 2005'
  21.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5. '문화콘텐츠산업 인력구조 및 직무분석 -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서울: 동연구원. 문콘진 05-02
  22.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a. '문화콘텐츠산업 산업분류 연구'. 서울: 동연구원
  23.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b. '문화콘텐츠의 유통 활성화를 위한 문화산업진흥기본법 개선방안 연구'. 서울: 동연구원. 문콘진 03-16
  24.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c. '한국 문화산업의 국제 경쟁력 분석: 미국,영국,프랑스, 일본,중국,한국 6개국 비교분석'. 서울: 동연구원. 문콘진 04-09
  25.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3. '문화콘텐츠산업 동향과 경기전망' 서울: 동연구원. 문콘진 03-07
  26. 한국문회콘벤츠진흥원. 2003. '문화콘텐츠의 유통활성화를 위한 문화산업진흥기본법 개선방안 연구'. 서울: 동연구원. 문콘진 03-16
  27.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2004. '디지털콘텐츠 산업 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 동연구원
  28. Bowker. Geoffrey C. & Star. Susan Leigh. 1999. Sorting Things Out
  29. Hodge. Gail. 2000. Systems of Knowledge Organization for Digital Libraries: Beyond Traditional Authority Flies. [cited 2006. 8.06]
  30. Jacob. Elin K. 2004.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A Difference that makes a Difference. Library Trends. 52(3):515-540
  3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번역. '사물의 분류'. 주은주 옮김. 현실문화연구
  32. Murdock. G. P. 1976. Outline of Cultural Materials. H.R.A.F
  33. Taylor. John R. 1997. '인지언어학이란 무엇인가?: 언어학과 원형이론'. 조명원,나익주 옮김. 서울: 한국문화사
  34. UNESCO. 1986. Framework for Cultural Statistics, Report of the The Joint Meeting on Cultural Statistics. Held in Geneva, 17-20 March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