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산소성 뇌손상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유병기간 및 예후와의 연관성

MR Findings of Hypoxic Brain Damage: Relation to Time Elapse and Prognosis of Patients

  • 서경진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학교실) ;
  • 강채훈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학교실) ;
  • 유동수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학교실) ;
  • 김상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Suh, Kyung-Jin (Department of Radiolog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ang, Chae-Hoon (Department of Radiolog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Dong-Soo (Department of Radiolog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ang-Joon (Department of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6.06.01

초록

목적 : 저산소성 뇌손상의 자기공명영상(MR) 소견을 유병기간 및 예후와 연관 지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임상적으로 저산소성 뇌손상으로 진단된 환자 18명의 19예의 MR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MR은 저산소증 발생 후 1일에서 20일(평균 8.6일)사이에 시행되었으며, 대상환자의 T1 및 T2 강조영상에서 비정상 고신호강도 병변의 위치, 뇌부종의 동반 유무 및 시간경과와 예후에 따른 병변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19예의 MR영상에서, T2 강조영상에서의 고신호강도 병변은 기저핵(15예, 78.9%), 뇌피질(13예, 68.4%), 뇌백질(9예, 47.4%), 시상(6예, 31.6%), 소뇌(4예, 21.1%), 뇌간(1예, 5.3%)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뇌피질의 병변은 모든 경우 심부회색질에도 이상소견을 동반 하였으며 양측성, 미만성의 병변을 보였고, 뇌피질 대부분 또는 두정 후두엽에 국한되어 나타났다. 뇌피질 및 심부회색질의 T2 강조영상에서의 고신호는 급성기(6일이내)부터 아급성기(6일이후)에 걸쳐 1예를 제외한 전 예에서 다양한 정도로 있었다. 뇌간이나 소뇌의 침범은 비교적 드물었고 모두 뇌피질의 병변이 동반되어 관찰되었다. 뇌백질의 병변도 대부분 아급성기에 뇌피질과 심부회색질의 병변이 있을 때 발생했지만 양측성 분수경계역 뇌경색의 소견으로 단독 침범한 경우도 1예 있었다. T1 강조영상에서의 고신호강도 병변은 뇌피질 및 심부회색질에 주로 아급성기에 관찰되었으나, 급성기에도 일부 관찰되었다. 뇌부종은 11예에서 급성기, 아급성기에 걸쳐 관찰되었다. 의식이 회복된 환자의 MR에서 뇌피질의 침범이나 뇌부종의 빈도가 적었다. 결론 : 저산소성 뇌손상의 MR소견은 다양하지만, 거의 대부분 뇌피질과 심부 뇌회색질을 침범하는 양측성 미만성의 병변으로 나타났다. 뇌백질의 병변은 아급성기 이후에 주로 나타나나 급성기의 혹은 단독의 병변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뇌피질의 침범정도가 경미하거나 뇌부종이 미약한 경우 예후가 좋았다.

Purpose : To describe MR imaging features of hypoxic brain damage in relation to time elapse and prognosis of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19 MR studies of 18 patients with hypoxic brain damage. MR imaging studies were performed between 1 to 20 days after the hypoxic insults (mean 8.6 days). MR image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the locations of abnormal signal intensities, the presence of brain edema. And imaging findings were correlated with the time elapse after the insults and the prognosis of patients. Results : On 19 cases of MR studies, abnormal high intensities on T2-weighted images were found in the basal ganglia (15, 78.9%), cerebral cortex (13, 68.4%), white matter (9, 47.4%), thalamus (6, 31.6%), cerebellum (4, 21.1%) and brainstem (1, 5.3%), respectively. Cerebral cortical involvement was typically bilateral and diffuse, but sometimes limited to the parieto-occipital area. The brainstem and cerebellar involvement was rare and in all cases, cerebral cortical lesions accompanied. Most of the white matter lesions were accompanied with cortical and deep gray matter lesions and found in subacute period(>6 days). The cortical high signal intensity lesions on T1-weighted image were found mostly in subacute stage, but in some cases involvement was also found in acute stage ($\leq$ 6 days). The cortical edema is found on 11 cases in acute and subacute stages. In cases of recovered consciousness, cortical involvement and edema on MR were rare. Conclusion : MR findings of hypoxic brain damage were various, but diffuse bilateral involvement of cortex and/or deep gray matter was found in most of the cases. White matter involvement was rarely found in acute stage and usually found in subacute stage. In cases of good pronosis, cortical involvement and edema were ra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