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s of Urban Spaces as the Background of Films - Focusing on Korean Films from 1960's -

영화 배경으로서의 도시 공간의 특징과 의미 해석 - 1960년 이후의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

  • Seo Young-A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Zoh Kyung-J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서영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조경진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6.04.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meanings of urban spaces which are the background of the Korean films, and to capture the interactions of ordinary culture and urban spaces. By reading urban spaces through film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variety of experiences that are hardly captured with direct eyes, specific and vivid urban images, and various events formed by the interactions of spaces and people. The scope of the study is the urban spaces revealed in Korean films portraying cities after the 1960's as their settings, and the total of 18 films was selected with every $4{\sim}5$ films for each time stage. With the selected films, analytical meanings were developed with considering three aspects; 1) phylogenetic meaning that simply reflects social-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2) the outer strum meaning that concerns the situation of special background and film scene, and 3) metaphorical and metanymic meaning on films. According to the appearance frequency, spatial backgrounds of film scenes are mainly alleys, main streets, railroad, loft, and riverside. And then the connection between spaces and meaning clusters was grasped, and reflected meanings were derived for every spaces. And the meaning of urban space in films was analyzed based on the meaning of developments and outer stratum.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nd feelings of people in media such as films are more emphasized than in real world. Urban space is not considered as a simple visible shell, but is recognized as 'a real situation' created by people. The intension of this study was to open the possibility of the various views of urban spaces. The construction of the urban space should be approached from a perspective of creating new places at where the space and human beings interact with considerations of stories of various human lives. I hope new vistas can be opened up for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ologies about the hereafter study of urban spaces through the mutual communications with various adjacent regions including films.

Keywords

References

  1. 강홍빈(1983) 도시 환경의 기호학: 1 그 가능성과 함께, 세계의 문학 8(1): 164-166
  2. 구동회 엮음(1999) 영화 속의 도시, 서울: 한울
  3. 기호학 연대 편(2003) 대중 무화 낯설게 읽기. 서울: 문학과 경계사
  4. 김성곤(2004) 영화속의 문화,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5. 김소영(1996) 시네마 테크노 문화의 푸른 꽃, 서울: 열화당
  6. 김재희(2002) 1950년대 말-1960년대 한국 영화에 나타난 도시성과 근대성. 중앙대학교. 첨단영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창원(1994) 시텍스트 해석 모형의 구조와 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태형(1999) 영화에 재현된 공간의 공간정치 경제학적 일분석-'초록물고기'와 '강원도의 힘'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명진, 정준영, 이영욱, 양은경, 김용호, 손병우, 김연종, 김창남 (1996) 문화, 일상, 대중. 서울: 한나래
  10. 박정순(1995) 대중 매체의 기호학. 서울: 나남출판
  11. 박철수(2002) 소설속 공간 산책. 서울: 시공문화사
  12. 박현선(2001) 정재은 감독과의 인터뷰중. www.nkino.com
  13. 신승엽(2003) 박하사탕. 서울: 삼인
  14. 심승희(2004) 서울 시간을 기억하는 공간. 서울: 나노미디어
  15. 영화진흥공사 기획(1989) 한국영화 70년, 대표작 200선. 서울: 집문당
  16. 이경화{2004) 설치미술의 관점에서 바라본 소쇄원의 공간개념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용관(1999) 유현목 한국 리얼리즘의 길찾기. 서울: 도서출판 큰사람
  18. 이명희(1989) 의미 체계로서의 도시 환경의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어령(2000) 공간의 기호학. 서울: 민음사
  20. 이원아(1995) 잡지 광고에 나타난 경관 이미지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효인(1999) 영화 미학과 비평 입문.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22. 임석재(1999) 놀이로서의 폭력-골목길의 이미지. hppt://search.hani.co.kr/data/cine21/2000/0201.html
  23. 정은주(2001) 영화속의 도시, 건축에 관한 연구-영화 '블레이드 런너'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 발표 논문집. pp. 549- 552
  24. 전범진(2002) 오즈 야스지로의 후기영화에서 나타난 기호학적 공간 분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주은우(2003) 시각과 현대성. 서울: 한나래
  26. 지윤희(1999) 최근의 한국 영화에 나타난 서울 읽기. 영화문화연구 (1): 175-213
  27. 최지훈(1997) 장소성의 해체와 정체성의 붕괴. 공간과 사회 (9)
  28. 한국도시연구소(1998) 한국도시론. 서울: 전영사
  29. 한국도시지리학회편(1999) 한국의 도시. 서울: 법문사
  30. Benjamin, W.(1934)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Reproduzierbarkeit
  31. 반성완(역), 발터벤야민의 문예이론. 서울: 민음사, 1983
  32. Hartmann, N.(1953) Asthetik
  33. 전원배(역), 미학. 서울: 을유문화사, 1995
  34. Lefebvre, H.(1991) The Production of Space. Cambridge: Blackwell
  35. hppt://www.seoulfc.or.kr
  36. hppt://www.kofi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