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placement Measuring Lab. Test of Reinforced-Soil Retaining Wall Block using 3D Digital Photogrammetry Image

수치사진영상을 이용한 보강토옹벽블록의 변위계측 실내시험

  • Han, Jung-Geun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Ang Univ.) ;
  • Jeong, Young-Woong (Dept. of Civil Engineering, Chung-Ang Univ.) ;
  • Hong, Ki-Kwon (Dept. of Civil Engineering, Chung-Ang Univ.) ;
  • Cho, Sam-Deok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im, Young-Seok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Bae, Sang-Ho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Daelim Collage)
  • 한중근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정영웅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
  • 홍기권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
  • 조삼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반연구부) ;
  • 김영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반연구부) ;
  • 배상호 (대림대학 토목환경과)
  • Received : 2006.09.04
  • Accepted : 2006.09.15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e collapsed cases are more and more increasing at the large scaled structures because of increasing of the risk due to natural disasters. The measuring instrument such as inclinometer, total station on reinforced-soil retaining wall has been used that displacement, settlement for stability assessm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it. But because these has gotten many instability measuring factors for stability analysis of RRW, new system needs to complement disadvantage of existing system. In this study, we considered a application of Visual Monitoring System (VMS) to measure a displacement in face of wall through Lab. test about block assembly of segmental retaining wall during load test.

보강토옹벽 구조물의 안정평가 및 관리는 변위 침하계측기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고 Total Station 등을 이용한 측량장비들도 계측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측은 대부분 국부적이며, 붕괴가 예상되는 경우에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계측시스템은 계측기의 내구성 및 관리 측면에서 많은 경제적 손실이 야기되고 있어 측정값의 신뢰성에도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수치사진영상을 이용한 계측시스템을 실내시험을 통하여 보강토옹벽의 변위계측에 적용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옹벽의 벽면변위계측이나 변형 및 균열 등의 계측을 위한 계측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