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ing Consciousness Revealed from the Discourse of Ideal Housing since the Enlightement Era

개화기 이후 이상주거 담론에 나타난 주의식

  • Yang, Se-Hwa (Major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University of Ulsan) ;
  • Jun, Nam-Il (Major of Consumer and Hou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ong, Hyung-Ock (Major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 Sohn, Sei-Kwan (School of Architecture, Chung 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6.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housing consciousness has been changed through various discourse on ideal housing from opening ports to the present. Reviews of literature including newspapers, magazines, novels, advertising materials, research papers, books, and so on are mainly utilized in accomplishing the purpose. This study covers four periods such as the enlightenment era, the Japanese colonial nile,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nd after the economic development to present.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n which foreign culture and housing were introduced, with reconsideration on traditional housing basic physiological housing value including health and hygiene was appeared. The desires of Munhwa housing with western styles and housing improvement were emphasized due to the new cultural impr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which was chaotic times with rehabilitation, the provision of a large amount of public housing with minimum conditions for the basic human needs was the most important. After 1960s, due to the housing policy focusing on the mass-provision of apartments and the discourse on apartment as an ideal housing for the ordinary households in Korea, apartment dwellings become structure type norms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주, 김상희(1997). 현대 주거학. 서울: 교문사
  2. 경향신문 1999. 3. 29일자
  3. 김선재(1987). 한국근대도시 주택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성진(1932). 우리가정의위생적생활개선. 동광, 8월, 69-75
  5. 김순일(1982). 개화기의 주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6(10), 27-31
  6. 김진송(2004).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서울: 현실문화연구
  7. 김 헌(1978). 알고 보니 아파트는 살 데가 아니더라. 뿌리깊은 나무, 1978, 9월
  8. 김혜정(1997). 우리나라 근대 주거공간의 변천을 통해 본 여성 주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가족생활연구논총, 2, 31-48
  9. 독립신문 1899. 4. 11일자
  10. 동아일보 1925. 9. 8일자
  11. 매일신보 1915. 8. 21일자
  12. 문홍길(1982). 개화기 이후 한국 전래주거건축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진희, 은난순, 전남일(2004). 아파트 광고를 통해 본 주거설비의 변화와 주거생활의 기술화. 한국주거학회추계발표논문집, 289-293
  14. 박철수(2005). 대중소설에 나타난 아파트의 이미지 변화과정 연구. 대한건축학회, 21(1), 189-200
  15. 백지혜(2005). 스위트홈의 기원. 사울: 살림지식총서 152
  16. 서귀숙(2004). 일제강점기 조선と건축 권두그림에 게재된 조선인 개인주택에 대한 고찰.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4), 79-81
  17. 서울문화사학회(2002). 서울문화재 나들이. 서울: 수서원
  1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1). 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19. 서윤영(2003).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집. 서울: 궁리
  20. 선진영(2000). 아파트 분양광고를 통해 본 주거개념 변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21. 손정목(1982). 한국 개항기 도시변화과정 연구. 서울: 일지사
  22. 신명직(2003). 모던 뽀이 경성을 거닐다-만문만화로 보는 근대의 얼굴. 현실문화연구
  23. 신용재(1996). 아파트 분양광고문에 나타난 입지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7), 61-71
  24. 신창헌, 최재필(2002). 인쇄매체 광고를 통해 본 주거문화의 경향에 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135-138
  25. 신화경(1998). 신문광고를 통해 본 시대별 주거가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9(1), 75-85
  26. 안옥희, 윤재웅, 배정인(1998). 주거학의 이해. 서울: 기문당
  27. 여성동아 1970-1995
  28. 전경화, 김정근, 홍형옥(1999). 아파트 모델하우스 비평을 위한 이론적 접근.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9, 121-127
  29. 조선일보 1960-1999
  30. 조선일보 1998. 10. 28일자
  31. 중앙일보 1995. 1. 25일자
  32. 지범석(2002). 분양광고에 나타난 주거환경 요소의 시대별 경향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연정, 최재필(2002). 대안주거로서의 전원주택 추구현상.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143-146
  34.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1979-2004
  35. 한겨레신문 1995. 7. 14일자
  36. 홍형옥(1992). 한국주거사. 대우학술총서 66. 서울: 민음사
  37. Beyer, G. H. (1955). Home selection and home managem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Living, 17, 143-151 https://doi.org/10.2307/348312
  38. Cutler, V. F. (1947). Personal and family values in the choice of a hom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Bulletin 840. Ithaca, N. Y.: Cornell University
  39. Morris, E. W., & Winter, M. (1978). Housing, Family, & Society. New York: John Wiley & Sons
  40. Sztompka, P. (1974). Systems and Function: Toward a Theory of Society. New York: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