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fresh yield and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whole crop barley treated with Urea (200 kg/ha, T2) and ammonium sulfate fertilizer as 200 kg/ha (T3), 300 kg/ha (T4) and 400 kg/ha (T5) at the Bae-Ho reclaimed tideland. Korea from 2003 to 2005. Salt contents of soil in the ammonium sulfate plots (T3, T4, T5) were lower than those of T2. The fresh yields of ammonium sulfate plots (T3, T4, T5) were higher than those of T2 as 62% (p>0.05), 41% (p>0.05) and 23% (p<0.05), respectively. The dry matter yield of T3, T4 and T5 (ammonium sulf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at 5,080 kg/ha, 4,667 ka/ha, 4,040 kg/ha, respectively.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 tends to have a similar result. Crude protein (CP) content was highest in T3 and CP trends to decrease as the level of ammonium sulfate was increase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were high in T3 and T4. The sodium content of T3 and T4 were lower than T2. Based on the study, it was more desirable to use ammonium sulfate (200 kg N/ha) rather than Urea as fertilizer on reclaimed land in terms of forage production and nutritive value.
간척지에서 요소와 유안비료의 시용이 총체보리의 수량성, 사료가치 그리고 토양염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003년 10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충남 당진에 위치한 대호간척지에서 시험한 결과, 평균 토양 염류도는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구(T3, T4 및 T5)에서 낮게 나타났다. 생초수량은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T3, T4 및 T5 처리구에서 각각 62% (p>0.05), 41% (p<0.05) 그리고 23% (p<0.05) 증수되었다. 건물수량과 TDN 수량도 생초수량과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유안대체구(T3)가 가장 높았으며, 유안을 증량시용(T4와 T5) 할수록 감소하였다. TDN 함량은 유안 200kg/ha 대체시용구(T3)와 유안 300kg/ha 대체시용구(T4)에서 높았다. 나트륨함량은 유안시용구(T3, T4 및 T5)에서 $0.50%{\sim}0.61%$로 낮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간척지에서 겨울철 사료작물로 총체보리를 재배할 경우, 질소질 비료는 요소대신 유안을 ha당 200kg 시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