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ing the Effect of Consideration Set-Based Reference Price: Empirical Bayes & Latent Class Approach

고려상품군을 반영한 준거가격효과의 모형화: Empirical Bayes & Latent Class Approach

  • Chang, Kwangpil (Facul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University of Seoul)
  • 장광필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05.10.31
  • Accepted : 2006.02.01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A couple of previous studies have warned against the use of homogeneous choice models in assessing the effect of reference price since unaccounted for response heterogeneity may result in spurious reference price effects(Chang, Siddarth and Weinberg 1999; Bell and Lattin 2000). According to Meyer and Kahn(1991), not accounting for consideration set heterogeneity may also bias the effect parameters in the choice model. Therefore, failure to account for these two sources of bias, in fact, have cast doubt on the empirical support for reference price effects in general. In view of aforementioned potential sources of bias, the author investigates the robustness of loss aversion effect in the reference-dependent model after accounting for heterogeneity in response as well as consideration set. The proposed model defines individual household's consideration set based on the posterior distribution of preference obtained from the Empirical Bayes approach. In addition, the same posterior distribution is used to form household-specific reference prices. Response heterogeneity correction is carried out via the Latent Class approach.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s the Reference-Dependent model that includes the reference price measure most often employed in the previous studies. This implies that as a way of simplifying decision task, consumers restrict their consideration set to a subset of available brands not only in making a brand choice but also in forming reference prices.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준거가격효과는 실증적 지지를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간과된 부분은 설명되지 않은 소비자 반응의 이질성이 준거가격에 반영되어 실재하지 않는 효과가 마치 유의한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Chang, Siddarth, and Weinberg 1999; Bell and Lattin 2000). 또 다른 차원의 이질성으로서, 고려상표군의 이질성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모델에 포함된 변수의 모수추정치에 왜곡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Meyer and Kahn(1991)이 지적한 바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반응의 이질성과 고려상표군의 이질성을 모두 반영한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준거가격효과의 추정을 시도하였다. 또한 소비자별 고려상표군의 이질성을 반영한 준거가격 측정치를 새롭게 제안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제안된 준거가격 측정치가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측정치에 비해 모델적합도와 예측타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준거가격 형성과정에도 고려상표군의 이질성이 반영됨을 실증하는 것이다. 고려상표군의 이질성이 반영될 경우, 선행연구의 준거가격 측정치에 비해서, 제안된 준거가격 측정치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표준편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측정치의 실제적인 적용 측면을 본다면, Greenleaf(1995)의 연구에서처럼, 최적의 가격정책이 손실회피(loss aversion)의 크기, 즉, 준거의존(reference-dependent) 모델상의 준거가격에 의존한다면 제안된 측정치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대화해야 할 이익함수에 포함된 준거가격 측정치의 정확성이 최적가격결정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준거가격모델에 근거하여 최적가격을 추정할 경우, 모델자체에 고려상표군과 반응의 이질성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준거가격 측정치 또한 고려상표군의 이질성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2년도 서울시립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